"성공한 사람들" / "It's not a sign of failure. It's a sign of success. Success in living long enough to see the disease expressed.".... S. Jay Olshansky (b.1954, American scientist) '그것은 실패의 조짐이 아니라 성공했다는 뜻이니 치매가 발병할 정도로 오래 살았다는 뜻이 아니겠는가?' 치매의 발병을 높히는 위험인자는 여럿을 들 수 있다. 술이나 담배 그리고 당뇨나 혈압 등의 기저대사질환 그리고 우울증 내지는 정신적 트라우마와 지속적인 외부적뇌손상 또 운동량부족 등을 들 수 있겠으나 가장 우선하는 위험인자는 나이다. 우리나라에서 65세 이상의 인구는 약 7백만명인데 그중 10%에 해당하는 인구가 치매환자인 것으로 건강보험공단의 통계가 밝히고 있다. 치매연관으로 개인이 일년에 약 2천만원의 경비를 쓰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는 치매가료를 위해 약 20조원의 국가예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미국에도 치매환자가 약 6백만명에 이르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치매환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기능면이나 생산의 측면에서 볼 때 한 인간이 사회로부터 소멸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혼자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돌봄을 위해 한두명을 추가로 물고 들어간다는 점에서 엄청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친척 중 사촌 누이가 한분 계셨는데 나보다 두어살 위인 분이었다. 한번은 미국에 학자금을 송금할 일이 있었는데 개인에게는 한도가 있었으므로 이 누이에게 5천만원의 현찰을 건네고 환전을 위해 며칠을 기다렸다. 보통 같으면 곧 연락이 오곤했으나 이번만큼은 아무 소식이 없어 5천만원이 어찌 되었는가 물었더니 무슨 5천만원인가를 되묻는 것이었다. 5천의 돈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 같아 머리카락이 쭈뼛서는 가운데 재차 다그치는데도 무슨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