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 신앙인 - 고(故) 박누가 선교사.
자신의 육체가 아플수록
아픈 이에 더 큰 사랑 남기고…
필리핀 의료봉사 헌신한
박누가(본명 박병출) 선교사
박누가 선교사의 조카 김주희씨가 (2018년8월)28일
오전 대구평강교회에서 드려진 발인예배에서
고인의 영정사진을 들고 예배당에 들어오고 있다.
동남아 오지의 슈바이처로 불렸던 박누가(본명 박병출) 선교사가 지난 26일 새벽 2시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58세. 유족으로는 김정옥 사모와 2남이 있다.
길지는 않았지만 불꽃같은 삶이었다.
외과 전문의로 윤택한 삶을 살 수 있었지만
그 길을 택하지 않았다.
하나님을 모르는 걸 가장 큰 병으로 여겼다.
그는 의사였지만
치료는 하나님의 몫이라고 확신했던 신앙인이었다.
2004년 3월 카자흐스탄에서
위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도
울부짖으며 이렇게 기도했다.
“의학은 사람이 만든 학문이고 치료는
하나님이 만든 작품 아닙니꺼.
맞지예. 살려 주이소.
이대로 데려가시면 안 됩니데이.
마 지금은 안 됩니더.
아직도 할 일이 많습니데이.”
하나님은 이 기도에 응답하셨다.
이후 무려 14년 동안 하나님의 일을 할 기회를 주셨고
마침내 데려가셨다.
박 선교사가 필리핀에서 의료선교를 시작한 건 1989년이었다.
그는 루손섬 바기오 북부의 산악지대를 사역지로 택했다.
바기오에서 12시간 동안 비포장도로를 달려야 닿는 오지였다.
누구도 오지 않는 곳이라는 사실이 박 선교사를 붙잡았다.
이후 필리핀을 거점으로 동남아시아 오지만 찾아다녔다.
죽어가는 수많은 이들에게 생명을 불어넣었다.
대형버스를 이동병원으로 개조해 의료 사각지대에서
주술에 기대 사는 이들에게 인술을 베풀었다.
의사인데도 그는 병을 달고 살았다.
워낙 오지를 다니다 보니
장티푸스 콜레라 이질 뎅기열 간염 등이
끈질기게 그를 괴롭혔다.
급기야 1992년 췌장암에 걸렸지만
다행히 초기여서 수술을 받고 완치됐다.
2004년에는 위암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낙심하지는 않았다.
‘치료는 하나님의 작품’이라는 소신대로
수술을 받았고 다시 선교지로 돌아갔다.
하지만 말기 암이 쉽게 치유될 리 없었다.
몸을 혹사하니 제대로 된 회복도 기대할 수 없었다.
2009년엔 간경화에 당뇨까지 더해졌다.
2016년 5월 위암은 결국 재발했다.
고통이 더해질수록 그는 더욱 겸손해졌다.
“아파 보니 환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된다”며
오히려 고마워했다.
박 선교사를 만나지 못했다면
닭 피를 치료제 삼아 죽어갔을 생명이 수천 명이었다.
그는 아플수록 더 큰 사랑을 나눴던 성자였다.
그와 이별한 슬픔 때문인지 장례가 진행된 대구엔
3일 동안 굵은 빗줄기가 쉬지 않고 내렸다.
박 선교사의 삶은 2012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KBS1 ‘인간극장’
프로그램에 소개돼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박누가 선교사는 KBS 감동대상
봉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박 선교사는 2016년 위암 재발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 별세했다.
시한부 선고를 받았음에 불구하고
30여 년 동안 이어진 의료 봉사로
‘필리핀의 한국인 슈바이처’라 불린
故 박누가 선교사의 삶을 담은
휴먼 다큐멘터리 <아픈 만큼 사랑한다>가
오는 4월 개봉을 확정 지으며,
추상미 감독의 특별 내레이션
참여 소식을 공개해 이목을 끌고 있다.
[감독: 임준현 | 제작: KBS | 배급: (주)드림팩트엔터테인먼트]
아파도 행복합니다
부와 명예를 버리고
오로지 아픈 사람들을 위해 시작한 의료 봉사.
산속까지 찾아와 무료로 진료해 주는
이방인 의사를 위해 오지 사람들은
코코넛과 파파야로 마음을 대신한다.
착하고 순수한 필리핀 사람들을 보며
그는 또 오겠다는 약속을 하고 길을 떠난다.
아파보니 자신을 아끼고 사랑해주는
사람들이 주위에 많다는 걸
또 한 번 느끼게 됐다는 누가 씨는
아파도 행복하다고 굳게 마음을 먹는다.
이태석 신부의 사랑과 헌신적인 삶을 그린
<울지마 톤즈>에 감동받은 기독교인들이
한결 같이 묻는 질문이 있었다.
“왜 목회자 중에는 이태석 신부 같은 분은 없는지?”
그럴 때마다 이렇게 대답했다. “물론 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다”고 말이다.
그리고 때마침 기자의 알곡 없는 대답에
힘을 실어준 이가 있었다.
그립습니다.
박누가 목사님 천국에서 편히 쉬소서!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