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am." (접니다.)
이솝은 노예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분은 비천했으나
똑똑하고 지혜로웠다.
어린 이솝이 노예 시장에
팔려 나오자 평소 이솝의
지혜를 눈여겨 보았던
철학자 크잔토스가
그를 샀다.
그 후 이솝은 크잔토스와 함께 지내며 많은 지혜를 배울 수 있었다.
하루는 주인이
어린 이솝을 불러 말했다.
“목욕탕에 가서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보고
오너라.”
목욕탕에는 많은 사람들이 드나들고 있었다.
그러나 목욕탕을 찾은 사람들이 문 앞에서
“이런 빌어먹을...” 이라고
욕을 하는 것을 보았다.
그 이유는 문 앞에 박힌 뾰족한 돌 때문이었다.
사람들이 그 돌에 걸려
넘어질 뻔하자 돌에 대고
화풀이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말도
알아듣지 못하는 돌에게
욕을 퍼부을 뿐, 아무도
그 돌을 치우려 하지 않았다.
이솝은 오랫동안 그 광경을 지켜보고 있었다.
그런데 얼마 후 한 남자가 목욕하러 왔다.
그 사람도 돌에 걸려 넘어질 뻔했다.
“웬 돌이 여기 박혀 있지?
사람들이 걸려 넘어지겠군.”
그 남자는 연장을 갖고 와서 그 돌을 파냈다.
그런 후 유유히 목욕탕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솝은 목욕탕 안에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 헤아려보지 않고 그냥 집으로
돌아갔다
이솝이 주인에게 말했다.
“주인님, 목욕탕 안에는
한 사람 밖에 없었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나라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집회와 세미나를 열고 강연도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들의 말이 아니라 행동이다.
말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언행이 일치하는 사람은 예나 지금이나 적은 것이 일반이다.
어떤 이는 자기가 한 약속도 지키지 않으면서 정직과 신뢰를 들먹인다.
식당 종업원이나 힘없는 사람들을 함부로 대하면서 자유와 인권을 외치고 방종을 걱정한다.
자신은 행동하지 않으면서 못하는 말이 없다.
할 말, 못할 말을 다하면서
정작 행동해야 할 때에는 행동하지 않고 눈치를 본다.
참으로 모순된 태도이다.
그것은 문 앞에 박힌 돌에 화풀이를 하면서 그것을 치울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들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영국의 런던타임스가 유명 작가들에게
‘무엇이 이 세상의 문제인가?’ 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응모했다.
세상의 수많은 문제와 혼란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한번 생각해 보자는 취지였다.
추리소설 작가인 G. K. 체스터턴은 다음과 같은 글을 써서 신문사에 응모했다.
짧았지만 가장 강렬한
내용이었기에 심사위원
모두를 감동시켰다.
”I am.(접니다.)”
왜 세상은 이 모양인가?
왜 남편(아내)은 변하지 않을까?
그 모든 문제의 출발점은
언제나 바로 ‘나’ 이다.
그렇다면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어디에 있는가?
역시 바로 ‘나’ 이다.
이 진리를 깊이 깨달은 사람만이
삶의 거친 무대에서 주인공으로
설 자격이 있다.
-받은 글-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