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준의 마음PT] 요즘 정신과를 많이 찾는 '자기비난' 환자들,
함영준·마음건강 길(mindgil.com) 대표
# 요즘 정신과를 찾는 사람 중에는 과도한 ‘자기 비난’ 때문에 오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난 실패자야’, ‘형편없는 놈이야’, ‘아무도 날 좋아하지 않아’, ‘난 사랑받을 자격이 없어’, ‘난 위선자 같아’, ‘내 외모는 너무 한심해’, ‘먹는 것을 참을 수 없어. 그런 내가 너무 미워’ …
자신의 능력, 인격, 인간관계, 외모, 취향 등은 물론 부모・자녀・남편・아내 등 자신의 역할에 대한 회의와 부정적 시각이 자책감, 죄책감, 수치심으로까지 이어져 견디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런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해 미국의 정신의학자 데이비드 호킨스는 “인간이 가진 최악의 의식상태”라고 규정했다.
인간의 감정을 IQ처럼 수치화한 그는 수치심(에너지 수준 20)과 죄책감(30)이 죽음(0)에 가장 근접한 감정으로 자살이나 사고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렇지 않더라도 오래 지속되면 온갖 심신질환 속에 시달리거나 학대나 폭력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가 될 수 있다고 한다.
21세기 현대인들의 이런 과도한 ‘자기 비난’ 현상은 선진국 공통인 듯싶다.
미 예일대 종교학과 종신교수 일미스님(김환수)은 “학생들을 상담하면 대부분 자신이 나쁜 사람인 것 같다, 지금 인생을 잘못 살고 있는 게 아니냐는 고민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전했다.
정신과를 찾는 사람들중에는 자책감이나 죄책감, 수치심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셔터스톡
정신과를 찾는 사람들중에는 자책감이나 죄책감, 수치심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셔터스톡
# 왜 이렇게 됐을까.
전통 사회처럼 함께 어울려 살지 않고 혼자 살아가는 데서 오는 외로움이나 소외감, 스마트폰이나 SNS를 통해 전파되는 온갖 정보로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는 데 따른 질투・열등감・자괴감… 그리고 자신의 모든 것이 다 노출될 수 있는 세상을 살아가는 데 따른 과도한 긴장과 자기 검열이 결국 자기비난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지금 우리가 인류 역사상 유례없이 빠르고, 욕망지향적으로 살아가는 데서 찾을 수 있겠다.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Yes, we can!’ 구호가 말해주듯 남이 강요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표를 정해놓고 죽어라 노력하는 데도 현실은 여전히 불만스럽고, 남들보다 뒤진 듯싶고, 허기지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