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는 귀가 능력이고 행복이다 ../
삼성창업주 고 이병철회장의 아들 이맹희 이창희 이건희 3형제에 대한 일화입니다.
병석에 누운 이병철 회장에게 기자가 질문 했습니다. “왜 3남인 이건희 회장
을 후계자로 지명 하셨나요?” 기자의 질문에 이병철 회장은 짧게 대답 했습니다.
“건희는<듣는 귀>가 있어서!”
삼남인 이건희 회장이 장남과 차남을 제치고 삼성의 후계자가 된 이유가 그 것 한 가지 뿐은 아니겠지만 남의
말을 들을 줄 아는 능력이 아버지 이병철 회장에게 인정받은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가정이나 학교도 마찬가지 입니다.
아내의 말을 들을 줄 아는 사람이 유능한 남편이고, 남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아내가 현명한 아내입니다.
공부 잘하는 학생은 강의 시간 에 선생님 말을 잘듣습니다.
배우자의 말을 잘 듣는 것은 문제와 갈등을 풀어내는 능력을 배양하는 필수 과정입니다.
평화로운 가정 행복한 가정,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위한 소통은 듣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하고 싶은 말을 다 하는 것보다 상대가 하는 말을 끝까지 듣는 것이 진정한 대화의 능력이고 삶의
기술입니다.
하나님이 귀를 두 개 만드시고 입을 하나 만드신 이유도 두 배로 듣고 절 반 만 말하라는 뜻이라고 여깁니다.
공자는 말하는 데 3년 걸리지만 듣는 법을 터득한데는 60년 걸린다고 하였습니다.
“경청” 이라는 책이 오랜 기간 동안 베스트셀러가 된 것만 봐도 듣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대답이 좀 늦고 진행이 빠르지 못해도 배우자와 열린마음으로 천천히 다 듣고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가면 가정은 평화롭고 행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가족사랑실천시민모임/자료실 -
守口如甁 (수구여병)
※저는 어렸을때부터 ''말이 씨가된다''는 어른들 말씀을 들으며 자랐습니다.
중학 1학년 한문시간에는
''수수여병(守口如甁)'' 이라는 한자도 배우면서 선생님의 ''말조심''훈화도 들어 나름 입조심 한다고 조심했는데 제대로 지켜냈는지 확인은 못하고 삽니다.
마침 소설가 ''이관순''의 글이 눈에 들어 여기에 옮겨 나눕니다.
''복(福)이 되는 말, 독(毒)이 되는 말.
등산모임이 있는 날에
한 친구가 나오지 못했습니다.
손자를 봐야 한답니다.
그 사정을 모를 리 없지만
유독 한 친구가 버럭 소리를 지릅니다.
“그 친구 왜 그리 살아?
그러니 허구한 날 붙잡혀 살지.”
그러자 다른 친구가
“자넨 손자가 지방에 있지?
옆에 있어봐 똑 같아.”
손자양육이 논쟁으로 커집니다.
“난 처음부터 선언했어,
내가 애를 보면 성을 간다!”
‘키 작은 남자와는 절대
결혼 않는다’는 처녀,
‘난 죽어도 요양원에는
안 간다’고 하는 선배,
‘딱 100세만 살 거야.’
호언했던 대학 동기
그런데 어쩌나,
다 헛맹세가 됐으니
여자는 키 작은 남자와
천생연분을 맺고,
선배는 치매가 들어 일찌감치 요양원으로 향했지요.
100세를 장담할 만큼 건강했던 친구는 아홉수에 걸려 69세에 심장마비로 떠났습니다.
나이 들면 갖춰야 할 덕목이 ‘절제’입니다.
삶에 고루 적용되는 말이지만, 여기에는 ‘조심’하라는 뜻이 있지요.
무엇보다 ‘말조심’하라는 것입니다.
듣는 귀가 둘인데 비해 말하는 입은 하나뿐인 것도 같은 이유랍니다.
우리가 수없이 내뱉는 말에는 사람을 살리는 말도 있지만 죽이는 말도 많습니다.
같은 말인데도 누구는 복(福)이 되는 말을 하고,
누구는 독(毒)이 되는 말을 합니다.
황창연 신부가 말하는 말의 세 부류도 같습니다.
말씨, 말씀, 말투가 그것이죠.
씨를 뿌리는 사람(말씨),
기분 좋게 전하는 사람(말씀),
말을 던지는 사람(말투)이
있는 것처럼 말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말씀은 말과 다릅니다.
어떤 분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도 저렇게 살아야겠다고 다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같이 감동을 전하는 사람의 말을 말씀이라 하지요.
말로 좋은 씨를 뿌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초등생 어린이에게
“씩씩하고 멋지구나.
넌 장군감이다.”
“넌 말을 잘하니 변호사가 되겠구나."
이렇듯 말에 복(福)을 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좋은 언어 습관은 말씨를
잘 뿌리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전철에서 중년 여인이 경로석에 앉은 할머니에게 말을 건넵니다.
“어쩜 그렇게 곱게 늙으셨어요?”
그런데 할머니는 시큰둥한 표정입니다, 다음 역에서 아주머니가 내리기 무섭게
“그냥 고우시네요 하면 좋잖아. 늙은 거 누가 몰라.”
ㅎㅎ 듣고보니 그렇기도 하네요.
프랑스 작가 장자크 상페는
자신의 책 ‘뉴욕 스케치’에서 뉴요커들의 긍정적인 말버릇을 관찰했습니다.
그들은 빤한 얘기인데도
습관처럼 상대의 말꼬리에
감탄사(!)를 붙이고, 물음표(?)를 달아줍니다.
이는 '내 말에 관심을 갖는다'는 표시로 받아들여지고, 서로의 삶과 이야기를 격려해주는 말 효과를 높입니다.
이를테면,
누가 “이번에 터키를 다녀왔어요. 너무 좋았어요.”라고 말합니다.
그러자 옆에서
“좋은 곳이죠. 나는 두 번 가봤어요.”
이렇게 말을 받으면 일단
주춤하게 됩니다.
이럴 때 뉴요커들은 자기 경험을 내세우지 않고
“정말요? 어머, 좋았겠다!”
“일정은 어땠어요?”
말머리를 계속 상대에게 돌려줍니다.
얼쑤 같은 추임새로 상대를 신나게 해주는, 뉴요커의 말 습관이 좋아 보이는 이유입니다.
우리는 말할 때 느낌표(!)와
물음표(?)를 얼마나 사용하나요? .
자기를 앞세운 대화를 하게 되면 상대의 말에 이러한 부호를 찍어주기가 어려워집니다.
오늘도 내가 한 말을 돌아보면서 느낌표와 물음표가 인색했음을 깨닫습니다.
내 말에 감탄하며 나의 감정과 안부를 물어주는 사람만큼 귀한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말이란 닦을수록 빛나고 향기가 납니다.
말할 때도 역지사지(易地思之)가 필요합니다.
말을 나눌 때는 상대방의 입장을 늘 염두에 두라고 합니다.
적어도 실언이나 허언 같은 말실수는 막아야 하니까요.
그러면 덤으로 얻는 것도 있습니다.
“어쩌면 그리 말을 예쁘게 하세요?”
“복(福) 들어올 말만 하시네요.”
정겨운 말은 모두를 기분 좋게 합니다.
守口如甁, 防意如城".
(수구여병, 방의여성)
주문공(朱文公) 말씀.
"입을 지키기를 병마개 막듯이 하고, 생각(뜻) 지키기를 성을 지키듯 하라."
- 명심보감 -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18 81="">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