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구(食口) - 식구(食口)
청국장을 냄비에 끓어 밥상 한가운데에 놓고 식구끼리 같이 떠먹던 모습을 바라본 스웨덴 사진작가는 위생관리가 안된 민족이라 탓했다지만 정말 그시절이 그립습니다.
'식구'란 조상으로부터 물러받은 우리민족의 유산이자 전통적인 개념입니다.
오늘날 진정 옛날과 같은 가족애를 느끼며 살아가는 '식구'란 게 있기는 할까요? 가슴을 따뜻하게 적시는 우리의 단어 '식구'가 그립고, 그 시절이 그리워집니다.
가족은 영어로 패밀리(family) 입니다. 노예를 포함해서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모든 구성원을 의미하는 라틴어
파밀리아(familia)에서 왔습니다.
즉, '익숙한 사이'라는 의미입니다.
중국은 '일가'(一家), 일본은 '가족'(家族)이란 용어를 주로 사용 합니다. 즉, 한 지붕 밑에 모여 사는 무리라는 의미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식구'(食口)라는
말을 주로 사용해 왔습니다. "같이 밥 먹는 입'이란 뜻입니다.
그러므로 한국인에게는 '가족'이란
"한솥 밥을 먹는 식사 공동체"라는 뜻 입니다. 그래서 남에게 자기 아내나 자식을 소개할 때도 '우리 식구'란 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볼 때, 한 집에 살아도 한 상(床)에서 밥을 먹지 않거나, 식사를 할 기회가 없다면 엄밀히 말해서,
"핏줄"이기는 해도 '식구'랄 수는 없습니다.
최근 한국 가정에도 위기가 닥치고 있는 것은, 가족 간에 식사를 같이 하지 않는 풍조가 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몇 년 전 뉴스에 나온, 고된 이민생활 속에서도 6남매를 모두 미국 예일대와 하버드대에 보내, 미국 최고 엘리트로 키운 '전혜성'여사도,
자녀 교육의 비결을 묻는 질문에
"무슨 일이 있어도 아침식사는 가족이 함께 했다"며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요즈음, 우리 생활을 들여다 보면,
실제로 '식구'가 얼굴 맞대고 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밥상머리 뿐인데 오늘날
우리 가정에서는 온 '식구'가 한 밥상에서 같이 식사하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심각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버지의 출근시간, 자식의 등교시간이 다르다보니, 각자 일어나자 마자
허둥지둥,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또는 우유 한 잔 서서 마시고 나가기 일쑤고,
저녁 귀가시간도 각자 달라 저녁 식사를 한 식탁에서 하기는 커녕, 언제 귀가 했는 지도 모르고 각자 방에서 잠자기 바쁩니다.
이러한 일상의 연속이니 "밥상머리 교육"은 고사하고, 어떤 때는 며칠간
얼굴 못볼 때도 많답니다.
1970년대만 해도, 대부분의 가정에서 늦게 귀가하는 '식구'를 위해, 아랫목이나 장롱의 이불 속에 밥을 묻어두곤 했습니다.
밥의 온도는 곧 사랑의 온도였습니다.
자식이 아무리 늦게 돌아와도 어머니는 뜨끈한 국과 따뜻한 밥을 챙겨주셨습니다.
그러나 요즈음은 전기밥솥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라면 등 몸에 좋지 않는 인스턴트제품이 집집마다 있어
필요할 때면, 밤중에라도 각자 알아서 처리하게 끔, 너무나도 친절하게 배려되어 있습니다.
요즈음, 밤늦게 들어와 아내에게 밥상 차리라고 했다간 이 시간까지 밥도 못먹고 어딜 돌아다녔느냐고 핀잔 듣기 십상입니다,
느닷없이 소낙비 오는 밤, 버스 정류장에는 우산을 받쳐들고 언제 올 줄 모르는 '식구'를 기다리는 그 모습들을 요사이는 볼 수가 있는가요?
누가 말했던가? 오늘날 아버지는
"울고 싶어도 울 곳이 없는 사람"이
바로 아버지라고 했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아버지는 직업 형편상 귀가하는 시간이 대체로 늦습니다.
그래서 '식구'들이 가장을 기다리다가
먼저 잠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쩌다, 아이들이 깨어 있더라도
컴퓨터나 휴대전화에 정신이 팔려
제 방에서 건성으로 인사만 건넵니다.
그러니 밥상머리 교육이나 대화는 기대하기 힘들고 나아가 얼굴은 자주 못 보더라도 서로 각자의 시간과 생활은
간섭이나 침범을 하지 안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개인주의를 부추겨 전통적인 집안 분위기를 어지럽힙니다.
평소 눈길 한 번 준 일 없던, 애완견만이 한 밤중에 쓸쓸히 반갑게 맞아주는
진풍경이 벌어지니 뭐라 말할 수 없는 쓸쓸함이 밀려옵니다.
'식구'란 정겨운 단어가 그립고 어릴 때 빙둘러 앉아 함께 했던 밥상이 정말 그리워집니다.
그리고 어머니 밥상이 그립습니다.
옮긴 글,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18 81="">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