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아내와 나 사이-
이생진
아내는 일흔여섯이고
나는 여든입니다.
지금은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걸어가지만,
속으로 다투기도 많이 다툰
사이입니다.
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
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누구 기억이 일찍 들어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
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
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에서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
인생?
철학?
종교?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 鑑賞 評 -
‘오래된 미래’라는 말이 있습니다.
다가올 시간이지만
이미 충분히 예견된 탓에
낯설지 않은 미래를 이렇게 부릅니다.
노후(老後)야말로
‘오래된 미래’ 중 하나지요.
‘생로병사(生老病死)’라는 피해갈 수 없는 외길에서
지금의 이 단계를 지나면
다음 코스에서는 뭐가 나올지 우린 다 알지요.
다 알기 때문에 오래되었고,
그럼에도 아직은 오지 않았기에
미래(未來)인 거지요.
지난 2019년 봄 평사리 최참판 댁 행랑채 마당에서
박경리 문학관 주최로
‘제1회 섬진강에 벚꽃 피면- 전국시낭송대회’가 열렸습니다.
60여 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던 낭송시가
바로 이생진 시인의 이 작품입니다.
70대 중반쯤 되어 보이는
남성 낭송가의 떨리고 갈라지는 목소리에 실려 낭송된 이 시는
청중들로 하여금 눈시울을 젖게 하였습니다.
좋은 낭송은
시 속의 ‘나’와
낭송하는 ‘나’와
그것을 듣는 ‘나’를
온전한 하나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내 몸의 주인인 기억이
하나둘 나를 빠져나가서
마침내 내가 누군지도 모르게 되는 나이.
나는 창문을 열려고 갔다가
그새 거기 간 목적을 잊어버리고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무엇을 꺼내려고 냉장고에 갔다가 냉장고 문을 열어놓은 채
그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장면은
상상만 해도
앞이 막막하고 울컥하지 않습니까.
시인은 차분하게
이 참담한 상황을 정리합니다.
우리의 삶이란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일 뿐이라고~~~.
그리고 자책하는 목소리에 담아
우리를 나무라지요
진리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그러므로
‘아내와 나 사이’의 거리는
우리의 어리석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셈이지요.
( 김 남 호 / 문학평론가 )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18 81="">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