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목의 도량과
송시열의 담대함...
조선 후기 효종때 당대의 두거물 정치인- 명의이자 영의정을 지낸 ..
南人의 거두 허목(許穆)과 학자이며 정치가이기도 한,
효종의 스승인 노론의 영수(領首)송시열(宋時烈)의 이야기 입니다.
당시에 이 두사람은 아쉽게도 당파로 인해 서로가 원수처럼 지내는 사이였다.
그러던중에 송시열이 큰병을 얻게 되었는데,
허목이 의술에 정통함을 알고있던 송시열이 아들에게
"비록 정적 일망정 내병은 허목이 아니면 못 고친다.
찾아가서 정중히 부탁하여 약방문(처방전)을 구해 오도록 해라"
하고 아들을 보냈다.
사실 다른 당파에 속한 허목에게서 약을 구한다는 건 죽음을 자청하는 꼴이었다 .
송시열의 아들이 찾아오자
허목은 빙그레 웃으며 약방문을 써 주었다.
아들이 집에 돌아 오면서 약방문을 살펴보니 비상을 비롯한 몇가지 극약들을 섞어 달여 먹으라는 것이었다.
아들은 허목의 못된 인간성을 원망하면서도 아버지 송시열에게 갖다 주었다.
약방문(처방전)을 살펴 본 송시열은 아무말 않고 그대로 약을 지어오라고 하고서 약을 다려 먹었는데 병이 깨끗이 완쾌되었다.
허목은 "송시열의 병은 이 약을 써야만 나을텐데 ,
그가 이약을 먹을 담력이 없을테니 송시열은 결국 죽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
그러나 송시열은 허목이 비록 정적 이긴하나 적의 병을 이용하여 자신을 죽일 인물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송시열이 완쾌했다는 소식을 듣자 허목은 무릎을 치며 송시열의 대담성을 찬탄했고,
송시열은 허목의 도량에 감탄했다고 한다.
서로 당파싸움으로 대적을 하는 사이 이지만 상대의 인물됨을 알아보고 인정을 하는 허목과 송시열과 같은 그런 인물이 현대에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사람은
믿음과 함께 젊어지고
의심과 함께 늙어갑니다..
사람은
자신감과 함께 젊어지고
두려움과 함께 늙어갑니다..
사람은
희망이 있으면 젊어지고
절망이 있으면 늙어갑니다..
나를 비우면 행복하고
나를 낮추면 모든것이 아름답습니다..
오늘도 사람이
더 그리워지는
좋은날 되시고
행복 하세요~
- 옮긴 글 -
🌶 고 추 장 🌶 고추장에 관해서 특별한 체험이 있다. 뜻하지 않게 갈비뼈가 부러져 응급실에 실려갔을 때의 일이다. 한개도 아니고 열개씩이나 골절되어 꼼짝달싹을 못하고 아편으로 통증을 겨우 견디고 있었다. 그런데 혈압이 올라가고 혈당이 올라가 혼수지경에 이르니 보통의 문제가 아니었다. 아내도 어떻해서든지 날 살려보려고 정성을 다해 음식을 해왔지만 모두가 헛수고일 뿐이었다. 나 또한 집사람을 혼자 살게 만들면 천벌을 받겠기에 열심히 음식을 먹으려 애를 썼지만 구역질만 더 할 뿐이었다. 여행다닐 때 고추장 단지를 꾀차고 다니며 햄버거에 발라먹던 생각이 나서 고추장을 가져다달라고 부탁했다. 고추장을 죽에 넣어 먹으니 신통하게 잘 넘어가는데 그 맛 또한 기가막혀 부글거리는 뱃속까지 편안해졌다. 덕분에 문병오는 사람마다 고추장 단지를 가져오는 바람에 고추장 벼락을 맞을 지경이 되었다. 그 후로는 고추장 단지가 내 식탁에 주인이 되었다. 고추장에 무슨 성분이 들어 있고 무슨 작용을 하는지는 몰라도 신통하기 짝이 없었다. 소태 같던 입맛이 꿀맛이요, 구역질도 잠잠해지고 느글거리던 뱃속까지 고분고분 고추장말을 잘 들으니 과연 고추장의 위력이 대단하다. 내 미국 친구들이 겨울만 되면 단골처럼 감기로 골골대고 있을 때 나는 감기가 뭔지도 모르고 지내고 있다. 그들이 날보고 너는 어떻게 감기 한 번 안걸리냐고 묻는다. 그때마다 "내가 건강한 것은 김치 파워야. 너희들도 김치를 먹어라." 하고 자랑을 했는데 이제는 고추장의 효능이 또 하나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어린 아기를 달랠 때 호랑이 나온다 하면 뚝 그치고, 순사 온다 하면 뚝 그치듯이 뱃속이 앙탈을 부리면 고추장 먹는다 하면 조용해 질 것 같다. 고추는 남미와 아프리카가 원산지란다. 고추의 매운 맛은 알카로이드의 일종인 캡사이신 때문이란다. 이 캡사이신이 자극을 주어 발효작용을 해서 감기 열을 내리기도 하고 위도 자극해서 위액 분비를 촉진해...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