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오늘은 무엇을 걸칠 것인가?'

'오늘은 무엇을 걸칠 것인가?' Every morning we select what clothes to wear but we rarely select what thoughts to wear on our minds. Dresses impress others but thoughrs impress us. '아침마다 무슨 옷을 걸치고 나갈까는 생각하면서 오늘은 마음에 무슨 생각을 걸칠까는 생각하지 않는다. 옷은 남을 감동시키는 것이나 마음 속의 생각은 나 자신을 감동시킨다.' 석가모니는 우리는 생각하는 바대로 지어지는 존재 (As we think, we become) 라 했으며 에머슨은 우리의 삶의 형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의 총화라고 했는데 과연 이 말들에 대한 과학적인 증거는 있는가? 우리의 뇌는 천억개가 넘는 신경세포 (neuron)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의 모든 활동을 관장하는데 그 모든 세포를 연결하면 지구에서 달을 왕복하는 거리가 된다. 그런데 이 무소불위의 사령부가 하지 못하는 일이 하나 있으니 실제현실과 가상현실을 구분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친구와 만나 기름이 잘잘 흐르는 탕수육에 빼갈을 들이키기 직전 입에는 침이 가득 고이는 것은 뇌리가 먹을 준비가 된 것으로 인식하고 소화에 필요한 효소를 준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식사시간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탕수육을 먹는 생각만으로도 입은 침으로 가득하게 된다. 뇌가 실제현실과 가상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하나의 예라 하겠다. 인체는 뇌가 무슨 생각을 하는가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충실한 일군일 뿐이다. 즉 인체의 제반 기능은 뇌에서 출발하는 신경자극, 신경전달물질 그리고 호르몬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반응하는데 기분이 나쁘면 식욕을 잃으며 깜짝 놀라면 얼굴이 '백짓장같이 하얘'지는 것이 한 예라 하겠다. 따라서 뇌가 웃으면 신체도 웃고 뇌가 울면 신체도 같이 우는데 환자들의 분만과정이나 수술 후 회복속도를 보면 두 부류의 환자들이 그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어 필자는 환자들의 예후를 거의 틀림없이 예측하고 있다.
또 인간은 마음 속에 있는 것을 외부에서 본다고 괴테도 말한 바 있는데 무인도에서 구조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은 떠다니는 원목덩어리도 구조선으로 보이며 밤을 새워 님을 애타게 기다리는 여인의 귀에는 바람에 떠는 문풍지소리도 님의 발자국소리로 들리는 법이다. 며느리가 미우면 버선코 끝까지도 미운 법이니 버선코끝은 위낙 예쁜 것의 대명사가 아닌가? 또 두꺼비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고 했으니 우리의 조상들도 마음에 있는 것을 외부에서 보는 사실을 알았다. 나무에서 장미를 보는가 가시를 보는가? 도우넛에서 먹을 부분을 보는가 가운데 구멍을 보는가? 위기에서 기회를 보는가 기회 속에서 위기를 보는가는 낙관론자외 비관론자를 구별짓는다. 의사 친구 하나는 의사 일 외에도 여러 사업으로 큰 돈을 벌었는데 돈 벌 궁리를 하다보니 이세상 온통 돈이 아닌 것이 없어보인다고 고백한 것을 들은 일이 있다. 마음에 용서와 화합을 지닌 사람은 주변 모든 사람이 예뻐보이지만 마음 속이 증오와 세상에 대한 회한으로 가득한 사람은 모두를 증오의 대상으로 볼 것이다.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의 하나로 유사한 것을 끌어다니는 법칙 (Law of Attraction)이 있으니 상기한 바 전자는 이 세상에서 이미 천국의 삶을 살고 있으며 후자는 이미 지옥을 살고 있으므로 천국과 지옥을 구태어 먼데서 찾을 필요가 없다. 자동차왕 Henry Ford 는 내가 할 수 있다거나 할 수 없다거니 둘 다 맞는 말이라고 했으며 고 정주영 회장도 일은 능히 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만이 해낸다고 말한 바 있다. 생각하는 바는 인간의 character 를 결정 지으며 그것은 행위를 조성하며 인간의 행위는 역동적으로 주변상황을 창조해 나가며 한 인간의 삶의 질을 규정해 나간다. 인간만사가 팔자소관이라 (Fixed mindset) 부르며 현상유지만 해도 승리라고 말하는 사람과 자신의 삶은 자신이 개척하는 것 (Growth mindset) 이라고 말하는 사람의 삶 사이에는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Your life is defined by the quality of your thoughts you have in your mind. 즉 너의 삶의 형태는 네가 갖는 생각의 질에 의해 규정된다. 감옥에 들어앉아 있는 사람이 좋은 생각의 결과이진 않지 않겠는가? 자! 깨어나서 첫 두시간의 무드가 하루 전체의 무드를 결정한다고 하는데 과연 오늘 아침은 무슨 생각을 마음 위에 걸치고 하루의 막을 올릴 것인가? 6/24/2021 박인철 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고 추 장  🌶

🌶 고 추 장  🌶 고추장에 관해서 특별한 체험이 있다. 뜻하지 않게 갈비뼈가 부러져 응급실에 실려갔을 때의 일이다. 한개도 아니고 열개씩이나 골절되어 꼼짝달싹을 못하고 아편으로 통증을 겨우 견디고 있었다. 그런데 혈압이 올라가고 혈당이 올라가 혼수지경에 이르니 보통의 문제가 아니었다.   아내도 어떻해서든지 날 살려보려고  정성을 다해 음식을 해왔지만 모두가  헛수고일 뿐이었다. 나 또한 집사람을  혼자 살게 만들면 천벌을 받겠기에 열심히 음식을 먹으려 애를 썼지만 구역질만 더 할 뿐이었다. 여행다닐 때 고추장 단지를 꾀차고 다니며 햄버거에 발라먹던 생각이 나서 고추장을 가져다달라고 부탁했다. 고추장을 죽에 넣어 먹으니 신통하게 잘 넘어가는데 그 맛 또한 기가막혀 부글거리는 뱃속까지 편안해졌다. 덕분에 문병오는 사람마다 고추장 단지를 가져오는 바람에  고추장 벼락을 맞을 지경이 되었다. 그 후로는 고추장 단지가 내 식탁에 주인이 되었다.   고추장에 무슨 성분이 들어 있고 무슨  작용을 하는지는 몰라도 신통하기 짝이 없었다. 소태 같던 입맛이 꿀맛이요,  구역질도 잠잠해지고 느글거리던  뱃속까지 고분고분 고추장말을 잘 들으니 과연 고추장의 위력이 대단하다. 내 미국 친구들이 겨울만 되면 단골처럼 감기로 골골대고 있을 때 나는 감기가  뭔지도 모르고 지내고 있다.  그들이 날보고 너는 어떻게 감기 한 번 안걸리냐고 묻는다. 그때마다 "내가  건강한 것은 김치 파워야.  너희들도 김치를 먹어라." 하고  자랑을 했는데 이제는 고추장의 효능이 또 하나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어린 아기를 달랠 때 호랑이 나온다 하면 뚝 그치고, 순사 온다 하면 뚝 그치듯이 뱃속이 앙탈을 부리면 고추장 먹는다  하면 조용해 질 것 같다.  고추는 남미와 아프리카가 원산지란다. 고추의 매운 맛은 알카로이드의 일종인 캡사이신 때문이란다. 이 캡사이신이  자극을 주어 발효작용을 해서 감기 열을 내리기도 하고 위도 자극해서 위액 분비를 촉진해...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일본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 '이기적 유전자' 라는 책을 써서 세계적인 스터디 셀러의 작가로 유명해진 "리처드 도킨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남을 먼저 배려하고 보호하면 그 남이 결국 내가 된다.” "서로를 지켜주고, 함께 협력하는 것은 내 몸 속의 유전자를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약육강식에서 이긴 유전자만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상부상조 또는 상호부조한 '종'이 더 우수한 형태의 유전자로 살아 남는다는 것이 도킨스의 주장입니다. 이기심보다는 이타심, 즉 내가 잘 살기 위해서는 남을 도와야 하며 서로 돕는 것이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논리입니다.  이 때 사람은 꽃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습니다. *녹명*...!  ‘사슴 록(鹿)에 울 명(鳴)’  즉 먹이를 발견한 사슴이 다른 배고픈 동료 사슴들을 부르기 위해 내는 울음소리입니다. 이 소리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물의 울음 소리로 들립니다. 수많은 동물 중에서 사슴만이 먹이를 발견 하면 함께 먹자고 동료를 부르기 위해 아름다운 소리를 내어 부른다고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 울음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요?    여느 짐승들은 먹이를 발견하면 혼자 먹고 남는 것은 숨기기 급급한데 사슴은 울음소리를 높여 동료를 불러 모아서 함께 나눕니다.   ‘녹명’은 시경(詩經)에도 등장합니다. 시경에서는 사슴 무리가 평화롭게 울며 풀을 뜯는 풍경을 어진 신하들과 임금이 함께 어울리는 것에 비유합니다.    '녹명'은 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져 있는 아름다운 단어입니다.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남을 배려하고 소중히 여기며 가진 것을 나누면 됩니다. 당신의... '녹명(鹿鳴)'을 응원합니다. 💝🙊🏕 [ 받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