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 늙음의 미학(美學) ]

[ 늙음의 미학(美學) ] 느티나무 잎 하나 빙그르르 휘돌며 떨어진다. 내 삶의 끝자락도 저와 같다. 어느 바람에 지는 줄 모르는 낙엽이 땅에 떨어지기까지는 순간이지만, 그럼에도 자세히 관찰해보면 그것은 분명히 절규가 아니라 춤추는 모습이다. 낙엽 지기 전의 마지막 모습은 어떠했을까. 아름다운 단풍이었다. 말년의 인생 모습도 낙엽처럼 화사(華奢)하고 장엄(莊嚴)한 파노라마 (panorama)이어라.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봄꽃보다 가을 단풍을 더 아름답게 본다. 아침 이슬도 아름답지만 해 질 녘의 저녁놀은 더 아름답다. ‘삶의 유혹(誘惑)’과 ‘죽음의 공포(恐怖)’ 이 두 가지에서 벗어나고자 고민하는 것이 인생의 참 공부다. 죽음을 향해 가는 길이 늙음의 내리막길이다. 등산도, 인생도 오르는 길 힘들지만 내려가는 길은 더더욱 어렵다. 그래서 삶의 길을 멋지게 내려가기 위해 늙음의 미학을 찾아보는 것이다. 늙음의 미학 제1장은 ‘비움의 미학’이다. 비움의 실천은 ‘버림’으로써 여백을 만드는 일이다. 버림이란 말이 맞지만 너무 냉혹하게 들릴 수도 있다. 점잖게 ‘나눔’이라 해도 좋다. 꽃이 비록 아름답지만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을 수 있다. 처녀가 설령 아름답지만 처녀를 버려야 ‘옥동자’, ‘옥동녀’를 낳을 수 있다. 죽음이란 ‘버림’의 끝이다. 성취의 청춘도 아름답지만 버림의 노년은 더욱 아름답다. 이것이 늙음의 미학이다. 주먹을 쥐고 태어나는 것은 세상에 대한 욕심이요, 손바닥을 펴고 죽는 것은 모든 소유로부터의 비움이다. 생의 가장 큰 가르침은 죽음이다. 선현은 죽음으로써 인생의 진리를 깨우쳐준다. 채운다는 관점에서 보더라도 비운 만큼만 채울 수 있다. 집지양개(執之兩個)요, 방즉우주(放則宇宙)다. 두 손으로 잡아보았자 두 개뿐이요, 놓으면 우주가 내 것인 것을. 늙음의 미학 제2장은 ‘노련의 미학’이다. 노련이란 단어에는 늙을 로(老)자를 쓴다. ‘노’자에는 ‘노련하다’는 의미가 있다. 오랜 세월의 경륜에서 오는 노하우(know-how)가 있어 노인은 노련한 경험의 결정체다. 노인은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신중함이 있다. 술을 마셔도 젊은이처럼 속수무책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그리하여 부도옹(不倒翁)이란 별명이 붙은 것이다. 늙음의 미학 제3장은 ‘점잖음의 미학’이다. 노인이 되면 언행이 무겁되 어둡지 않다. 품격이 고상하되 야하지 않다. 그래서 ‘점잖다’라는 말이 성립된다. 곧 ‘젊지 않다’는 말이다. 젊은이처럼 감성에 쉬이 휘둘리거나 분위기에 가볍게 흔들리지 않는다. 지하철을 공짜로 타고 다니는 ‘지공거사’로서 젊은이의 잘못을 보고도 잘 나무라지 않음은 힘과 용기가 없어서가 아니라 그들도 그러한 시절을 겪어왔기 때문에 이해하고자 함이다. 점잖음, 그것은 중후한 인생의 완결이자 노인이 보여줄 수 있는 장엄한 아름다움이다. 늙음의 미학 제4장은 ‘생각의 미학’이다. 노인이 되면 이런저런 생각이 많다. 그러다 보니 했던 말을 또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생각은 일념통천(一念通天)의 지혜의 샘물이다. ‘늙은이(늘그니)’는 ‘늘 그 자리에 있는 이’다. 생각이 깊고 많기 때문이다. 그저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게 아니라 세상을 염려하고 가문을 지키면서 늘 그 자리를 지키는 것이다. 사고(思考)의 ‘고(考)’자는 ‘늙을 로(老)’변에 속하며 ’생각하다‘는 뜻이다. 노인회(老人會)나 기로연(耆老宴)은 생각이 많은 분들의 모임이다. 늙음의 미학 마지막 장은 ’3분의 2의 미학‘이다. 흔히 몸은 늙었어도 마음은 아직 청춘이라고 항변하는데, 이 말은 사실이다. 정신의 나이는 육신의 나이에 3분의 2에 불과하다. 60세면 40세로 생각하고, 90세면 60세로 생각한다. 마음마저 육신과 똑같이 늙었다고 생각하면 삶이 위축된다. 죽는 날까지 젊은이의 기상으로 살아가야 한다. 젊은 생각으로써 씩씩한 만년을 맞이해야 한다. 인류의 평균연령이 급격히 늘어감에 따라 온 세상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퇴직의 새벽을 맞이하면 인생 리모델링(remodeling)을 반드시 해야 한다. 내 남은 인생의 가장 젊은 날이 바로 오늘이다. 어제 죽은 자가 그토록 소망하던 오늘이다. 영리하고 재주가 있는 사람을 일러 총명(聰明)하다고 하는데, 총(聰)은 귀가 밝다는 뜻이며, 명(明)은 눈이 밝다는 뜻이다. 나이가 들면 눈과 귀가 어두워진다. 모든 기능이 저하되어 자세히 볼 수 없고, 또렷하게 들을 수 없다. 하지만 문제없다. 쑥떡 같이 얘기해도 찰떡 같이 듣는 훈련을 평생 해온 그들이기 때문이다. 요즈음의 젊은이들은 찰떡 같이 얘기해도 쑥떡 같이 건성으로 들어버리니 낭패(狼狽)다. 아름다움의 끝은 죽음이다. 단풍잎이 어느 이름 모를 바람에 느닷없이 똑 떨어지듯이 그렇게 죽는 것이, 오복의 하나인 고종명(考終命)이다. 죽고 사는 것이 달려 있는 매우 위태한 고비를 일러 사생관두(死生關頭)라 한다. 사관(死關)은 죽음의 관문(關門)인 것이다. 낙엽 지듯 관문을 통과하는 것이 고종명이다. 목숨이 끊어진다는 말은 식도(食道)인 목과, 기도(氣道)인 ’숨‘이 끊어진다는 말이다. 밥이 맛을 잃으면 30일 만에 죽게 되고, 공기가 맛을 잃으면 3분 만에 죽게 된다. 순간의 유명(幽冥)이다. 나뭇잎 떨어지듯, 정전(停電)되듯, 눈 깜짝할 사이에 밝음과 어둠이 새벽별 보듯 또렷하다. 신(神)의 품에 다가가는 아름다운 구속·····. 사유(思惟)의 대자유(大自由), 자유(自遊)의 대자유 속에서 늙어가는 즐거움을 그대는 아는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일본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 고 추 장  🌶

🌶 고 추 장  🌶 고추장에 관해서 특별한 체험이 있다. 뜻하지 않게 갈비뼈가 부러져 응급실에 실려갔을 때의 일이다. 한개도 아니고 열개씩이나 골절되어 꼼짝달싹을 못하고 아편으로 통증을 겨우 견디고 있었다. 그런데 혈압이 올라가고 혈당이 올라가 혼수지경에 이르니 보통의 문제가 아니었다.   아내도 어떻해서든지 날 살려보려고  정성을 다해 음식을 해왔지만 모두가  헛수고일 뿐이었다. 나 또한 집사람을  혼자 살게 만들면 천벌을 받겠기에 열심히 음식을 먹으려 애를 썼지만 구역질만 더 할 뿐이었다. 여행다닐 때 고추장 단지를 꾀차고 다니며 햄버거에 발라먹던 생각이 나서 고추장을 가져다달라고 부탁했다. 고추장을 죽에 넣어 먹으니 신통하게 잘 넘어가는데 그 맛 또한 기가막혀 부글거리는 뱃속까지 편안해졌다. 덕분에 문병오는 사람마다 고추장 단지를 가져오는 바람에  고추장 벼락을 맞을 지경이 되었다. 그 후로는 고추장 단지가 내 식탁에 주인이 되었다.   고추장에 무슨 성분이 들어 있고 무슨  작용을 하는지는 몰라도 신통하기 짝이 없었다. 소태 같던 입맛이 꿀맛이요,  구역질도 잠잠해지고 느글거리던  뱃속까지 고분고분 고추장말을 잘 들으니 과연 고추장의 위력이 대단하다. 내 미국 친구들이 겨울만 되면 단골처럼 감기로 골골대고 있을 때 나는 감기가  뭔지도 모르고 지내고 있다.  그들이 날보고 너는 어떻게 감기 한 번 안걸리냐고 묻는다. 그때마다 "내가  건강한 것은 김치 파워야.  너희들도 김치를 먹어라." 하고  자랑을 했는데 이제는 고추장의 효능이 또 하나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어린 아기를 달랠 때 호랑이 나온다 하면 뚝 그치고, 순사 온다 하면 뚝 그치듯이 뱃속이 앙탈을 부리면 고추장 먹는다  하면 조용해 질 것 같다.  고추는 남미와 아프리카가 원산지란다. 고추의 매운 맛은 알카로이드의 일종인 캡사이신 때문이란다. 이 캡사이신이  자극을 주어 발효작용을 해서 감기 열을 내리기도 하고 위도 자극해서 위액 분비를 촉진해...

疾風知勁草(질풍지경초)

疾風知勁草(질풍지경초) 모진 바람이 불 때라야  강한 풀을 알 수 있다. 어렵고 위험한 처지를 겪어봐야 인간의 진가를 알 수 있다. 인생은 난관과 역경으로 가득 차 있고, 인간세상은 염량세태라서 잘 나갈 때는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지만 몰락할 때는 썰물처럼 빠져 나가기 마련이다. 추사 김정희선생님의 세한도 (歲寒圖)를 보면 공자의 이런 말씀이 적혀 있다. 歲寒然後 (세한연후) 知松柏之後彫也 (지송백지후조야) 날씨가 추워진 후라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다른 나무보다 뒤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 집안이 가난할 때라야 좋은 아내가 생각나고 세상이 어지러울 때라야 충신을 알아볼 수 있다. 지금 아픈 것은 아름다워지기 위함이다! 아름다운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려면 종(鐘)이 더 아파야 한다 셰익스피어는 이렇게 말했다 "아플 때 우는 것은 삼류이고 아플 때 참는 것은 이류이고 아픔을 즐기는 것이 일류 인생이다" 그래서 이렇게 기도해 본다 서로에게 믿음주고 서로가 하나되는 삶을 살게 하소서! 물질적 부자가 아닌 마음의 부자로 살아가게 하시고 물질로 얻은 행복보다 사랑으로 다져진 참사랑으로 살게 하시고 머리로 생각하고  가슴으로 느끼는 아름다운 사랑으로 꽃피우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