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친구가 몇이나 되오?



○ 친구가 몇이나 되오?
       
류진사는 무골호인(無骨好人)이다.

한 평생(平生) 살아오며
남의 가슴에 못 한 번 박은 적이 없고,

적선(積善) 쌓은 걸 펼쳐 놓으면 아마도
만경창파(萬頃滄波) 같은 들판을 덮고도 남으리라.

그러다보니 선대(先代)로부터 물려받은
그 많던 재산(財産)을 야금야금 팔아치워

겨우 제 식구들 굶기지 않을 정도의
중농(中農) 집안이 되었다.

류진사(柳進士)는 덕(德)만 쌓은 것이 아니라
재(才)도 빼어났다.

학문(學問)이 깊고, 붓을 잡고 휘갈기는
휘호(揮毫)는 천하(天下) 명필(名筆)이다.

고을 사또(使道)도 조정(朝廷)으로 보내는
서찰(書札)을 쓸 때는 이방(吏房)을 보낼 정도였다.

류진사네 사랑방엔 선비와
문사(文士)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부인(婦人)과 혼기(婚期) 찬 딸 둘은
허구한 날 밥상, 술상을 차려
사랑방에 들락날락하는 게 일과(日課)다.

어느 날,

오랜만에 허법(虛法) 스님이 찾아왔다.
잊을만하면 류진사를 찾아와,

고담준론(高談峻論)을 나누고
바람처럼 사라지는 허법 스님을 류진사는
스승처럼 대한다.

그날도 사랑방엔 문사들이 가득 차,
스님이 처마 끝 디딤돌에 앉아 기다리자,
손님들이 눈치채고 우르르 몰려나갔다.

허법 스님과 류진사가
곡차상(穀茶床)을 가운데 두고 마주 앉았다.

“류진사는 친구(親舊)가 도대체 몇이나 되오?”

스님이 묻자

류진사는 천장을 보고
한참 생각하더니, 자랑스럽게 말했다.

“얼추 일흔은  넘을 것 같습니다.”

 스님은 혀를 끌끌 찼다.

“진사는 참으로 불쌍한 사람이오.”

류진사가 눈을 크게 뜨고 문을 활짝 열더니 말했다.

“스님,  한눈 가득 펼쳐진
 저 들판을 모두 남의 손에 넘기고, 친구 일흔을 샀습니다.”

 스님은 껄껄 웃으면서

"친구란 하나 아니면 둘,  많아야 셋, 그 이상이면
 친구가 아닐세.”

두 사람은 밤새도록 곡차를 마시다가,
삼경(三更)이 지나 고꾸라졌다.
류진사가 눈을 떴을 때 ··
스님은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다음날부터 류진사네 대문(大門)이 굳게 닫혔다.

집안에서는 심한 기침소리가 들리고
의원(醫員)만 들락거려,
글 친구(親舊)들이 대문 앞에서 발길을 돌렸다.

열흘이 가고 보름이 가도
진사네 대문은 열릴 줄 몰랐다.

그러더니 때아닌 늦가을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날 밤에 곡(哭) 소리가
터졌다.

진사가 지독(至毒)한 고뿔을 이기지 못하고
이승을 하직(下直)한 것이다.
빈소(殯所)는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부인과 딸 둘이 상복(喪服)을 입고,

머리를 떨어뜨린 채 침통(沈痛)하게
빈소(殯所)를 지켰다.

진사 생전(生前)에
문지방이 닳도록 드나들던,
글 친구들은 낯짝도 안 보였다.

그런데 한 친구가
문상(問喪)을 와 섧게섧게 곡을 하더니,
진사 부인을 살짝이 불러냈다.

“부인(夫人),  상중(喪中)에 이런 말을
 꺼내 송구(悚懼)스럽지만 워낙 급한 일이라….”

그 친구는 품속에서 봉투
하나를 꺼내어 미망인(未亡人)에게 건넸다.
봉투를 열어보니 차용증(借用證)이다.

류진사가 돈 백냥을 빌리고
입동(入冬) 전에 갚겠다 .내용(內用)으로,
진사의 낙관(落款)까지 찍혀있었다.

또 한 사람의 문상객(問喪客)은
왕희지(王羲之) 족자(簇子) 값 삼백 냥을
못 받았다며 지불각서(支拂覺書)를 디밀었다.

구일장을 치르는데,

여드레째가 되니 이런 채권자(債權者)들이
빈소(殯所)를 가득 채웠다.

“내 돈을 떼먹고선  출상(出喪)도 못해!”

“이 사람이 빚도 안 갚고 저승으로
 줄행랑을 치면 어떡해.”

빈소(殯所)에 죽치고 앉아 다그치는
글 친구들 면면(面面)은 모두 낯익었다.

그때 허법 스님이
목탁(木鐸)을 두드리며 빈소(殯所)에 들어섰다.

미망인(未亡人)이 한 뭉치 쥐고 있는
빚 문서(文書)를 낚아챈 스님은
병풍(倂風)을 향해 고함(高喊)쳤다.

“류진사! 일어나서 문전옥답(門前沃畓)을 던지고 산
 잘난 당신 글  친구들에게 빚이나 갚으시오~.”

 병풍(倂風) 뒤에서 ‘삐거덕’ 관 뚜껑 열리는
 소리가 나더니,
 류진사가 걸어 나왔다.

빚쟁이 친구들은 혼비백산(魂飛魄散)해
신도 신지 않은 채 도망쳤다.

류진사의 만류(挽留)에도 불구(不拘)하고
허법 스님은 빚 문서 뭉치를 들고 사또에게 찾아갔다.

이튿날부터 사또(使道)의
호출장(呼出壯)을 받은

진사의 글 친구 빚쟁이들이
하나씩 벌벌 떨면서 동헌(東軒) 뜰에 섰다.

“민초시(閔初試)는 류진사에게 삼백 냥을
 빌려줬다지?”

사또의 물음에 꿇어앉아 머리를
땅바닥에 조아린 민초시는 울다싶이 읍소했다.

“나으리, 목숨만 살려주십시오.”

“곤장 삼백 대를 맞을 텐가,
 삼백 냥을 부의금(賻儀金)으로 류진사 빈소에 낼 건가?”
류진사는 글 친구들을 사느라 다 날린 재산(財産)을
그 친구들을 버려서 다시 찾았다.

"친구(親舊)란
 온 세상(世上) 사람이 다 내 곁을 떠났을 때
 나를 찾아오는 그 사람이다"

   -(무심거사)-(한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일본

일본에 주재원으로 23년 살다온 친구가 12월 초에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어느 선술집 벽에 있는 낙서를 사진으로 찍어서 번역해준 건데 웃기면서도 의미가 심장합니다.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두 줄 읽고 웃고, 두 줄 읽고 무릎 치고... 와, 뭔가 조금은 통달한 '꾼'이 끄적거린 거 같습니다.  사랑에 빠(溺)지는 18세  욕탕서 빠(溺)지는 81세  도로를 폭주하는 18세  도로를 역주행하는 81세  마음이 연약한 18세  온뼈가 연약한  81세  두근거림 안멈추는 18세  심장질환 안멈추는 81세  사랑에 숨막히는 18세  떡먹다 숨막히는 81세  수능점수 걱정하는 18세  '혈당/압'치 걱정의 81세 아직 아무것 모르는 18세 벌써 아무것 기억無 81세  자기를 찾겠다는 18세  모두가 자기를 찾고 있는  81세. ———-!———!—— 몸에좋고 인생에 좋은 피자 열판 보내드립니다. 계산은 제가 하겠습니다. 허리피자 가슴피자 어깨피자 얼굴피자 팔다리피자 주름살피자 내형편피자 내인생피자 내팔자피자 웃음꽃피자 오늘부턴 신년까지 늘 웃음과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 고 추 장  🌶

🌶 고 추 장  🌶 고추장에 관해서 특별한 체험이 있다. 뜻하지 않게 갈비뼈가 부러져 응급실에 실려갔을 때의 일이다. 한개도 아니고 열개씩이나 골절되어 꼼짝달싹을 못하고 아편으로 통증을 겨우 견디고 있었다. 그런데 혈압이 올라가고 혈당이 올라가 혼수지경에 이르니 보통의 문제가 아니었다.   아내도 어떻해서든지 날 살려보려고  정성을 다해 음식을 해왔지만 모두가  헛수고일 뿐이었다. 나 또한 집사람을  혼자 살게 만들면 천벌을 받겠기에 열심히 음식을 먹으려 애를 썼지만 구역질만 더 할 뿐이었다. 여행다닐 때 고추장 단지를 꾀차고 다니며 햄버거에 발라먹던 생각이 나서 고추장을 가져다달라고 부탁했다. 고추장을 죽에 넣어 먹으니 신통하게 잘 넘어가는데 그 맛 또한 기가막혀 부글거리는 뱃속까지 편안해졌다. 덕분에 문병오는 사람마다 고추장 단지를 가져오는 바람에  고추장 벼락을 맞을 지경이 되었다. 그 후로는 고추장 단지가 내 식탁에 주인이 되었다.   고추장에 무슨 성분이 들어 있고 무슨  작용을 하는지는 몰라도 신통하기 짝이 없었다. 소태 같던 입맛이 꿀맛이요,  구역질도 잠잠해지고 느글거리던  뱃속까지 고분고분 고추장말을 잘 들으니 과연 고추장의 위력이 대단하다. 내 미국 친구들이 겨울만 되면 단골처럼 감기로 골골대고 있을 때 나는 감기가  뭔지도 모르고 지내고 있다.  그들이 날보고 너는 어떻게 감기 한 번 안걸리냐고 묻는다. 그때마다 "내가  건강한 것은 김치 파워야.  너희들도 김치를 먹어라." 하고  자랑을 했는데 이제는 고추장의 효능이 또 하나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어린 아기를 달랠 때 호랑이 나온다 하면 뚝 그치고, 순사 온다 하면 뚝 그치듯이 뱃속이 앙탈을 부리면 고추장 먹는다  하면 조용해 질 것 같다.  고추는 남미와 아프리카가 원산지란다. 고추의 매운 맛은 알카로이드의 일종인 캡사이신 때문이란다. 이 캡사이신이  자극을 주어 발효작용을 해서 감기 열을 내리기도 하고 위도 자극해서 위액 분비를 촉진해...

疾風知勁草(질풍지경초)

疾風知勁草(질풍지경초) 모진 바람이 불 때라야  강한 풀을 알 수 있다. 어렵고 위험한 처지를 겪어봐야 인간의 진가를 알 수 있다. 인생은 난관과 역경으로 가득 차 있고, 인간세상은 염량세태라서 잘 나갈 때는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지만 몰락할 때는 썰물처럼 빠져 나가기 마련이다. 추사 김정희선생님의 세한도 (歲寒圖)를 보면 공자의 이런 말씀이 적혀 있다. 歲寒然後 (세한연후) 知松柏之後彫也 (지송백지후조야) 날씨가 추워진 후라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다른 나무보다 뒤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 집안이 가난할 때라야 좋은 아내가 생각나고 세상이 어지러울 때라야 충신을 알아볼 수 있다. 지금 아픈 것은 아름다워지기 위함이다! 아름다운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려면 종(鐘)이 더 아파야 한다 셰익스피어는 이렇게 말했다 "아플 때 우는 것은 삼류이고 아플 때 참는 것은 이류이고 아픔을 즐기는 것이 일류 인생이다" 그래서 이렇게 기도해 본다 서로에게 믿음주고 서로가 하나되는 삶을 살게 하소서! 물질적 부자가 아닌 마음의 부자로 살아가게 하시고 물질로 얻은 행복보다 사랑으로 다져진 참사랑으로 살게 하시고 머리로 생각하고  가슴으로 느끼는 아름다운 사랑으로 꽃피우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