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계절을 맞으며
2016-08-27 (토)
한수민 국제 로타리 근무
이곳 시카고는 한국의 날씨와 비슷하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있고 계절에 따른 기온의 변화도 비슷하다. 시카고에서 맞이한 첫 해 겨울은 추위가 유난히도 혹독했는데, 그 때 한 어르신은 “고향인 신의주 날씨가 꼭 이랬다”며 아련한 표정으로 말씀하셨다.
여름의 끝물인 요즈음, 밤이면 풀벌레 소리가 한창이다. 아침저녁으로는 제법 선선한 기운도 느껴지는데, 나는 바로 이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때가 가장 싫다.
내 기억에 어렸을 때도 그랬던 것 같은데, 그 때는 이유가 좀 달랐다. 그 때는 이 무렵에 밀린 방학숙제가 슬슬 걱정이 되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일기를 쓰는 게 문제였는데, 지난 날의 날씨가 어땠는지 기억이 안 났기 때문이다(그 당시에는 일기에 ‘맑음’‘흐림’ 이런 식으로 꼭 날씨를 표시해야 했다). 언젠가, 그 때도 심각하게 고민을 하다가 “선생님도 날씨를 일일이 기억을 못하시지 않을까?”하는 영특한(?) 생각이 들면서 나름 안심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요즘은 그 이유가 달라졌다. 가을이 오면 머잖아 그 길고 음울한 겨울이 오리라는 생각, 갑자기 폭설이라도 내리면 엉금엉금 기어가듯 운전해야 할 생각에 진저리가 처지지만, 그런 현실적인 이유보다는 오히려 “올 한 해도 또 이렇게 가버리는가? 이렇게 정신없이 한 해, 두 해를 보내다 보면 내 인생의 겨울도 금방 오지 않겠는가?”하는 불안하고 초조한 생각이 드는 것이다.
며칠 전, 집에서 키우던 애완견을 하늘나라로 보냈다. 그 녀석의 나이가 열여섯, 네 살 때 쉘터에서 입양해서 열 두 해를 우리집에 살았다. 사람으로 치면 백열두살이라니 천수를 누리고도 남은 나이다.
미 리 전제를 하자면 나는 지극한 동물 애호가는 못된다. 그 녀석을 입양한 것도 강아지를 좋아해서 라기보다는 외동아이를 키우는 데에 좋다는 친지의 권유에 따른 것이었고 “개는 개일뿐 사람을 대체할 수는 없다”라는 나의 지론은 다른 식구들로부터 “냉정하다”는 지탄을 받곤 했다.
하지만 지난 몇 개월 동안 나날이 눈에 뜨이게 쇠약해지는 녀석을 보며 나는 마음이 몹시 아렸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 녀석의 모습에서 홀로 노구를 이끌고 살아가시는 친정어머니의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어느 날 뼈만 앙상히 남은 녀석을 목욕시키다가 “내가 여기서 이러고 있어야 할 게 아니라, 서울에 나가 우리 어머니를 목욕시켜 드려야 하는 게 아닌가”하는 생각에 울컥해 지기도 했다.
지난 봄, 한국에 나갔을 때 나는 생전 처음으로 어머니를 목욕시켜 드렸다. 그 전까지는 여든이 훨씬 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유방암 수술 자국을 보이기 싫으시다면서 혼자 목욕을 하시던 어머니였다. 목욕을 시켜드리면서 쇠약해진 몸을 보는 일도 가슴 아팠지만, 그 자존심 강하시던 분이 여기까지 오시기가 얼마나 힘드셨을까 생각하니 더욱 가슴이 아팠다.
미치 앨봄이 쓴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이라는 책에서 보면, 루게릭병으로 죽어가는 모리는 병상에 누운 채 자신의 대소변을 받아내는 간병인에게 유쾌하게 말을 건넨다. 이 모습을 본 저자는 나중에 모리에게 묻는다. 어떻게 그 순간에 그럴 수가 있느냐고. 이 때 모리는 “…아침마다 30분(정확히는 기억이 안난다) 나 자신을 연민하는 시간을 갖곤 하지. 그리고 나서는‘이제 됐다’고 스스로에게 말해준다네…”결국 자기 연민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성숙한 삶의 지름길이라는 이야기다. 이것은 부단한 연마와 내공이 필요한 일인데, 다행히 나는 이같은 롤 모델을 우리 어머니로부터 보고 있으니 감사한 일이다.
이제 내가 싫어하든 좋아하든 계절이 바뀌고 있다. 딸아이가 혹독한 사춘기를 겪으며 방황하던 시절에 우리 집에 왔던 녀석은 딸아이가 훌쩍 자란 성인이 되어 이제는 ‘진짜 자신의 삶’(딸 아이 본인의 말이다)을 살기 위해 뉴욕 행을 준비할 때 우리 곁을 떠나갔다.
우리 집은 진짜 ‘빈 둥지’가 되었고 나는 내 인생의 새로운 계절을 징징거림 없이 받아들일 때가 되었다.
<한수민 국제 로타리 근무>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