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emento vivere" - Batiquitos Lagoon 이 주는 교훈

"Memento vivere" - Batiquitos Lagoon 이 주는 교훈, / "Memento vivere (Remember to live)"......어느 벤치의 plaque 에서 딸 하나가 San Diego 카운티의 북단에 위치하는 Carlsbad 라는 도시에 살고 있는데 도시 인근에는 Batiquitos Lagoon 이 있어 갈 때마다 자주 찾으며 내가 많은 위안을 얻고 있는 호수다. 자연만큼 인간에게 평안을 주는 것이 있다던가? Lagoon 이라함은 바닷물이 좁은 공간으로 유입되어 인근의 저지대로 흘러들어 호수형태를 띄고 있는 지대를 말하는데 생태계는 바다의 그것을 따르고 있다. 이 해양호수는 약 70만평에 이르는데 늪지대를 따라 트레일을 조성해 인근주민들의 안식처를 제공하고 있어 나도 기회만 있으면 자주 찾는 명소다. 인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호수와 동명의 재단을 설립해 호수의 생태계보호에 앞장 서 미래세대를 위해 아름다운 자연을 물려주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이 지구는 우리가 미래세대로부터 빌려 잠시 사용하는 것 뿐이 아닌가? 이 호수에서는 일체의 낚시나 물놀이를 금지하고 있는데 해안경비대의 감독이 미치지 않는 곳이므로 인명피해를 예방코자 함이다. 그려나 매달에 한번씩은 호수에서 'Kayak Day' 가 열리는데 인근의 Kayak 전문회사의 도움을 받아 약 20여척의 2인승 배를 띄워 호수 위를 떠다니는 각종 쓰레기를 수거하고 호수주변의 浮遊物들을 제거하는 행사를 벌인다고 하는데 마침 내가 방문한 날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울긋불긋한 색상의 카약에 오른 자원봉사단들은 일인 당 백오십불을 지불하고 배에 오르는데 자신이 돈을 내고 쓰레기까지 줍는 정신이 바로 미국을 지탱하는 힘이지 않는가 생각해 보았다. 타고 싶어도 차례가 오지 않아 타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 얘기도 들었다. 트레일을 돌다보니 작년까지도 보이...
최근 글

가까운 사람이 주는 진짜 위로

건강한 하루!! ~ *&♥︎ 가까운 사람이 주는 진짜 위로 어느 날 책에서 이런 문장을 보았습니다. 멀리 있는 물은 가까운 불을 끄지 못한다. 한자로는 遠水不救近火(원수불구근화)라고 하지요. 아무리 넉넉하고 맑은 물이라도, 너무 멀리 있다면 지금 당장 내 옆에서 번지는 불을 끌 수는 없습니다. 살아가면서 겪는 어려움도 그렇습니다. 걱정, 상처, 갈등 같은 인생의 불길 앞에서, 진짜 힘이 되는 건 내 옆에 있는 사람입니다. 세상엔 참 대단한 사람들도 많습니다. 영향력 있는 사람, 돈이 많은 사람, 힘 있는 사람도 많지요. 하지만 내가 아플 때, 외로울 때, 주저앉고 싶을 때 따뜻하게 안아주는 사람은 결국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입니다. 또 이런 말도 있습니다.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 (遠親不如近隣, 원친불여근린) 피를 나눈 가족도 멀리 떨어져 살면, 내가 아플 때 바로 달려와 줄 순 없습니다. 오히려 늘 마주치는 이웃, 직장 동료, 친구가 내가 힘들 때 먼저 알아차리고 손을 내밀어주지요. 가끔 너무 멀리 있는 것들을 바라봅니다. 유명인과의 인맥, 멀리 있는 기회, 언젠가 잘될 미래 같은 것들요. 물론 그것들도 소중합니다. 하지만 오늘, 지금, 곁에 있는 사람의 존재를 잊지 마세요. 내 말에 귀 기울여주고, 잠시 기대어 쉴 수 있는 그 사람이야말로 진짜 소중한 사람입니다. 삶은 늘 바쁘고 복잡하지만, 그래도 가끔은 주변을 둘러보세요. 함께 웃고, 함께 밥 먹고, 힘든 날엔 묵묵히 곁을 지켜주는 사람이 있나요? 있다면, 그 사람은, " 당신에게 귀한 사람입니다..!" [ 아침편지 ] 2025년 10월18일, youtu.be/WfFl8cbxQ_Q? 세상에 가장 힘이 되는 말은 나를 믿어 준다는 말입니다! 나를 믿어주는 단 한 사람이 있을 때,자신의 진심을 털어 놓을수 있는 단 한사람이 있 을때,끝까지 나아갈 힘을 얻 을수 있기...

♥️ 착각하지 말자

♥️ 착각하지 말자 우리는 노후에 대해서 착각을 합니다. 7대 착각이라고 해서 일곱 가지를 주로 얘기합니다. -첫 번 째,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광고에 자주나오는 이야기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실제로 나이가 들어보면요, 절대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지 않습니다. 제 나이가 1947년생 만으로 78세 입니다. 70세 초반하고 75세 중반 하고 큰 차이가 나는 것을 피부로 느낍니다. 그러니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게 아니라 나이가 차면 굉장히 힘들어 진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노후에 대한 마음의 준비를 해야 됩니다. 만약에 60이다. 아직도 40년이 남았어, 그건 거짓말 입니다. 그 40년의 삶의 질이라고 하는 건 팍 떨어지기 때문에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게 아니라는 것 그 착각에서 깨어야 됩니다. -두 번째, 인생은 60부터인 줄 안다 인생은 60부터 내리막길 입니다. 60쯤 되면 현직에서 떠나지 않습니까? 그 다음부터는 나머지 기간이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덤으로 사는 것 처럼 느껴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인생은 60부터가 아닙니다. 한가지 여기서 인생이 60부터라고 하는 의미가 있는 게 하나 있습니다. 그게 뭐냐! 인생은 60부터 한가 하니까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하며 살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는 인생은 60부터입니다. 그 외의 것은 착각이라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세 번째, 죽을 때까지 일해야 되는 줄 안다. 수많은 노후에 관한 책들이 뭐라고 얘기하냐 하면 ‘100세 시대이기 때문에 죽는 순간까지 일해야 된다.’ 그렇게 얘기합니다. 그러면서 90살, 100살까지 일하고 있는 분들을 자꾸만 거론하면서 ‘누구도 그렇게 하지 않느냐? 이런 얘기 하는데 그런 분들 어쩌다가 한 두 분이지 일반적인 게 아니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건 착각입니다. 늙어 죽을 때까지 일하는 것이 아니라 제가 생각할 ...

감사하면 웃찾사

감사하면 웃찾사/ 우리는 아침에 깨어나서 잠의 기적에 대해서 기뻐하는 것을 배울 수 있는가? 불면증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은 잠이라는 것이 얼마나 큰 선물인지 알 것이다. 혹 밤에 우리는 아이들이 잠자고 있는 방에 들어가 서 내내 감사를 드리면서 곁에 앉아 아이들을 지켜볼 수도 있다. 우리는 또한 우리의 소유물을 바라보면서 그것들을 비장하려 하지 않고 그것들에 대해 감사할 수 있다. 우리가 감사하는 정신을 가질 때에 우리는 모든 것들을 태연하게 여길 수가 있다. 우리는 받으나 움켜쥐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보내야 할 때가 되면 자유롭게 내보낸다. 우리는 소유자가 아니라 단지 청지기일 뿐이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리고 이에 덧붙인다면 손에 잡을 수 없는 "물질들" 을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는 신분, 명예, 지위와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의 삶 속에 왔다가 가곤 한다. 따라서 우리는 그것들이 올 때에 감사하고 또한 갈 때에도 감사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리처드 포스터의 '돈, 섹스, 권력'에서- 인간은 불안감 때문에 이기심 때문에 감사함을 잊어버립니다. 유한한 존재이지만 무한성을 느낄 때도 있어 이것이 사람을 근심되게 한다고 합니다. 이 근심은 우리에게서 감사를 빼앗아 버립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맑은 공기를 마실 때, 물 한잔을 들이킬 때, 따뜻한 밥 한 공기를 앞에 둘 때 우리는 감사보다는 오늘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불안감과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남을 이기겠다는 이기심이 우리를 짓누르게 됩니다. 모든 것이 당연하게 여겨질 때 내 자신을 돌아보며 나는 무엇 때문에 근심하고 무엇 때문에 이기적이려고 하는지 함께 생각해 보는 하루가 되면 좋겠습다. 감사하면 웃음을 찾는 사람(웃찾사)이 됩니다. 자신을 사랑합시다 몸이 아팠을 때, 죽음이 임박했을 때 그토록 원했던 부귀, 영화, 권세는 여러분 한테 아무 것도 해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진실로 자신을 위해 무엇인...

생텍쥐페리의 <사막의 도시>에 나오는 ‘거미와 이슬의 사랑이야기’

오늘은 ‘생텍쥐페리의 에 나오는 ‘거미와 이슬의 사랑이야기’를 올려드립니다. ㅡㅡ 제목 : 사랑은 소유가 아니라 지켜주는 것 깊은 숲속에 거미 한마리가 살고 있었습니다. 이 거미에게는 오랫동안 친구가 없어서 외롭게 지냈습니다. 어느 날 아침 거미가 잠에서 깨어나 거미줄을 보니 이슬이 한 방울 맺혀 있었습니다. 거미가 물었습니다. "넌 누구니?" 이슬이 대답했습니다. "난 이슬이야!" 거미가 말했습니다. "난 오랫동안 친구가 없었어.. 우리 친구하자" 이슬은 잠시 생각을 하더니 말했습니다. "응. 그래 좋아! 하지만 조건이 하나 있어 나를 절대로 만지면 안 돼!" 거미가 대답했습니다. "알았어. 약속 지킬게" 그 후 거미와 이슬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외로울 때는 서로 위로하고 즐거울 때는 서로 나누며... 세월이 흘러 거미는 이제 이슬이 없는 생활을 생각조차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거미는 이슬을 만져보고 싶어졌습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이슬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거미가 말했습니다. "나 너를 만져보고 싶어. 응?" 이슬이 슬픈 표정으로 말했습니다. "너, 나를 사랑하는 구나. 그럼 너 나에게 한 가지 약속을 해야 해. 만약, 내가 없어도 슬퍼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고." 거미는 말했습니다. "응" 거미가 두 손으로 이슬을 꼬옥 껴안는 순간 이슬은 사라져 버렸습니다. 사랑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지켜주는 것입니다. ㅡㅡ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 사랑의 의미(意味)를 다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사랑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지켜주고 돌봐주는 것이랍니다.” 성경 고린도전서 13장에서도 사랑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랑은 오래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사랑은...

그 무엇도 끊을 수 없는 사랑으로 우리를 사랑하시는 예수님—

그 무엇도 끊을 수 없는 사랑으로 우리를 사랑하시는 예수님 ㅡ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높음이나 깊음이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롬 8:35,39) 어떤 환경도, 어떤 거리도, 우리를 구주와 분리시킬 수는 없다.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그분께서는 우리 우편에 계셔서 우리로 쓰러지지 않게 해 주시고, 옹호해 주시고, 붙들어 주시고, 위로해 주신다. 그리스도께 구속받은 사람들에 대한 그분의 사랑은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보다 더욱 크다. 우리가 그분의 사랑 안에 안식하면서 “그분께서 나를 위하여 당신의 생명을 주셨으므로 내가 그분을 의지한다”고 말하는 것은 우리의 특권이다. 인간의 사랑은 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사랑은 변할 줄을 모른다. 우리가 도움을 얻고자 그분께 부르짖으면, 그분께서는 우리를 구원하시고자 당신의 손을 펴신다. (주님을 첫째로 높이자 97) Jesus Loves Us with a Love That Cannot Be Broken by Anything ㅡ  “Who shall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Christ? shall tribulation, or distress, or persecution, or famine, or nakedness, or peril, or sword?  Nor height, nor depth, nor any other creature, shall be able to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which is in Christ Jesus our Lord."  (Romans 8:35, 39)  Circumstances may separate friends; the restless waters of the wide sea may roll between us and them. But no circumstances, no ...

말의 능력/

말의 능력/ 남태평양 솔로몬 군도 의 어떤 마을 사람들은 독특한 방법으로 벌채를 한다. 나무가 너무 커서 도끼로 자를 수 없을 때 원주민들은 그 나무에 대고 고함을 질러서 그것을 쓰러뜨린다. 나무꾼들이 새벽이면 나무에 올라가서 목청을 나무에 대고 갑자기 화난 목소리로 고함을 지른다. 이런 일을 계속 반복하면 나무가 서서히 말라 죽어서 쓰러진다. 원주민들에 의하면 그것은 언제나 효험이 있다고 한다. 말의 힘은 굉장한 것이다. 집에서 키우는 화초에도 내가 너를 사랑한다고 매일 말하면 그 화초는 파릇파릇 피어오르게 된다고 한다. 말에는 이렇게 힘이 있다. "그리스도인 된 우리는 언제나 사랑스러운 말을 하여야 할 것이다." [ 아침편지 ] 2025년 10월 16일 / 사람은 믿음과 함께 젊어지고 의심(疑心)과 함께 늙어 간답니다.    사람은 자신감과 함께 젊어지고 두려움과 함께 늙어가고,    사람은 희망(希望)이 있으면 젊어지고 실망(失望)이 있으면 늙어갑니다.    우리의 일생은 타인(他人)에게 얽매어 있습니다.    타인을 사랑하는 데에 인생의 반을 소모하고 인생의 반은 타인을 비난하는데 소모 한답니다.    나를 비우면 행복(幸福)하고, 나를 낮추면 모든 것이 아름답게 보인 답니다.    행복은 결코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행복은 내 마음 속에 있습니다.   오늘도 "건행"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