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삶을 누리는 기쁨/

삶을 누리는 기쁨/ 우리가 삶을 누리는 것 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불행하게 살라고 죽으신 것은 아닙니다. 모든 억압과 불행에서 우리를 구하기 위해 죽으신 것입니다.“ 살아 있으면서 삶을 즐기지 못하는 것보다 비극적인 일은 없습니다.” -조이스 마이어의 ‘단순함이 주는 기쁨’ 중에서- 하나님께서는 ‘항상 기뻐하라’고 말씀하십니다. 기쁨은 주님이 우리에게 주신 선물이며 또한 필수적인 명령입니다. 상황에 따라 이리저리 끌려 다니는 것이 아닌, 주님이 주시는 기쁨으로 상황을 이기는, "기쁨이 넘치는 삶을 사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Amen.
최근 글

👵 어머니는 말 안해도 다 안다 👵

👵 어머니는 말 안해도 다 안다 👵 옛날에 글을 배우지 못한 한 여자가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시집을 갔다.  해가 갈수록 고향 생각이 간절했지만 시부모 모시고 농사짓고 살림하느라 고향에 다녀 올 엄두도 못냈다. 그러던 어느 날 어머니와 고향이 너무도 그립고 보고 싶어서, 고향 어머니한테 안부를 전할 요량으로 종이를 펼쳤다. 하지만 글을 모르니 한 자도 쓸 수가 없었다. 고민하던 여자는 글 대신에 그림으로 자기 마음을 표현했다.  완성시킨 그림은 커다란 굴뚝에 훨훨 나는 새 한 마리였다. 편지는 인편을 통해 친정으로 보내졌다.  마을 사람들은 글도 모르는 사람인데, 어떻게 편지를 보냈을까 궁금하여 편지를 펼쳐 보았다. 보낸 편지 속에는 숯으로 그린 커다란 굴뚝 하나와 새그림 하나가 전부였다. 사람들은 머리를 맞대고 생각을 거듭했지만, 아무도 해석하지 못했다. 그때 여자의 친정어머니가 밭일을 마치고 돌아왔다. 사람들은 시집 간 딸에게서 편지가 왔다며 보여 주었다. “이 그림이 대체 무슨 뜻이래요?” 편지를 본 친정어머니는 이내 눈물을 훔치며 말했다. “에이구, 내 새끼! 에미 생각은 굴뚝 같지만 보러 올 새가 없다네요.”^^~(근심) - 옮긴 글 - "Happy Mothers Day..!"

어 머 니!

👨‍👩‍👦 어 머 니! 👪 당신 뱃속에 열달동안 세들어 살고도 한달치 방세도 못냈습니다. 몇년씩이나 받아먹은 생명의 따뜻한 젖값 한푼도 못 갚았습니다. 이승에서 갚아야 할 은혜 저승까지 지고 가는 뻔뻔한 자식입니다. 홀쭉해진 허리춤은 우리 엄니 걸어온 길이러니...! 행여하고 뒤 돌아보니 울엄니 보이지 않고 빨간꽃 한송이 내 가슴에 피었더이다. 잘 살아 보자고 격동기 시절, 허리띠 졸라매고 우는 아이 달래며 항상 우리 곁에 함께 하시던 어머니 ! 어머니의 그 거친 손길이 너무나 그립습니다. 광대무변 우주속에 나를 탄생시키시고 한줄기 빛으로 밝은 웃음 길러주신 어머님~~~! 아름다운 당신의 그 이름속에는 바다가 있었습니다. 어머니 ! 이 한마디 보다 더 큰 위안은 이 세상에 없더이다. 어버이날이 가까워지네요. 부모님이 사모치게 그립습니다. "I Love You, Mother!"

신체의 건강에 유리하지 않은 모든 행습들은…

🌻 생명의 향기 • 신체의 건강에 유리하지 않은 모든 행습들은 단호하게 물리쳐 버려야 한다 🌻 우리는 앞에 놓인 일을 성취하기 위해 모든 능력들의 원기를 온전히 보전하도록 애써야 한다.  신체적 원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무엇이나 정신적 노력을 약화시킨다.  그런 까닭에, 신체의 건강에 유리하지 않은 모든 행습들은 단호하게 물리쳐 버려야 한다. 저 위대한 사도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될까 두려워함이로라."  우리는 하나님께 자신을 구별하면서, 동시에 한 가지 그릇된 습관에 고집스럽게 탐닉함으로써 건강을 해칠 수 없다.  자기 부정은 그리스도의 사업에 참가 조건일 뿐 아니라 그 안에 머무는 조건도 된다.  그리스도께서는 결코 오해의 여지가 없는 언어로 제자도(弟子道)의 조건을 친히 선포하셨다.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하지만 자신을 그리스도인이라고 칭하면서도 그리스도를 위해서 자기를 부정하기를 꺼리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유해한 방종(放縱)에 대한 사랑이, 건전한 몸에 건전한 정신을 유지하려는 갈망보다 얼마나 더 강한지, 눈을 즐겁게 하거나 식욕을 만족시키기 위해 귀중한 시간들이 소모되고, 하나님이 주신 재원들이 낭비된다.  관습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이 세상적이고 육감적인 것에 노예 상태로 붙들려 있다. 자원해서 사로잡힌 포로들이 많이 있다. 그들은 더 좋은 것을 갈망하지 않는다. — 그리스도인의 마음과 품성과 인격 2, 380-381. 🌻 Aroma of Life • Every Practice Unfavorable To the Health of the Body Should be Resolutely Shunned 🌻 We should seek to preserve the full vigor of all our powers for the accomplishmen...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고" 장영희 교수 에세이, 하나님을 좋은 시기에 만나는 것, 참으로 좋습니다. 하나님을 더 알기 위하여 "연애 편지"인 말씀도 읽고. 하나님과의 "대화의 시간"인 기도 시간을 가지는 것은 필요하지요. 큐티는 매일 시간을 정해놓고 말씀을 그냥 읽는 것이 아니고 말씀을 깊이 묵상하면서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시는 말씀을 알아가는 시간인데 참으로 신나고 얼마나 재미있는지 알아보세요. 안 쓰는 것이 아니고 오늘 쓰려고 한 것입니다. 나 어디에 있든지 인생을 살다보면 광야 같은 곳으로 쫓겨날 때가 있다. 어떤 땅에 심겼든 말씀을 붙들라! 바위틈에서도 자라고 마는 잡초처럼 일어서서 영적 전성기를 누리게 될 것이다. - ‘잡초의 힘’ 중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로 삶의 귀퉁이로 몰려나거나 억울한 일을 겪고 혼자서 모든 고통을 감당해야 할 때 우리는 그 문제 자체의 고통보다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생겼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괴로워합니다. 그리고 그 답이 없는 질문이 주는 괴로움은 우리를 더욱 깊은 좌절의 수렁으로 빠뜨립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에겐 예기치 못한 삶의 고통이 주는 의문보다 더 분명하고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어디에 있든지 주가 함께 하시며 오늘의 고통은 결코 계속 이어지는 것이 아닌 언젠가 영광의 상처가 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주의 선하신 약속을 기억하며 그의 말씀을 붙잡고 있는 자리에서 다시 일어서십시오. 사막에 꽃을 피우시며 광야에 길을 내시는 주를 신뢰하며 어둠을 지나 빛의 길로 걸어가십시오. 목적을 이루는 삶 햇볕이 너무 그리웠습니다. 오랜 시간을 기다리고 또 기다렸더니 비 개인 하늘에. 햇님과 마음 놓고 마주하는 날을 허락하셨습니다. 정말 다행입니다. 비로서 제 몫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짝 말라 맛있는 양념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나의 존재 이유, 그 목적을 이루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천하에 범사...

나는 어느 날,

나는 어느 날, 우리나라 사람이면 대부분 알 만한 문장 다섯 가지를 고른다면? 하고 생각해 보았다. 애창곡처럼 우리들의 마음에 새겨진 문장' 이라고 이름 지을 것들 말이다. 우리의 마음에 새겨진 문장 다섯 중에 첫 번째는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괴로워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애송시를 물어보면 1위는 윤동주의 서시가 꼽히는데 그 첫 문장 이다. 왜 이 문장이 우리의 가슴에 그토록 메아리 칠까? 겨레의 아픔과 함께 한 윤동주' 라는 시인과 詩가 지닌 고결한 마음과 멀리보면 종교가 지향하는 깨끗한 마음을 통해서인 것 같다. ※두 번째를 꼽으라면, "신에게는 아직 열두 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이다. 한국인이라면 男女 없이 이 문장을 좋아한다. 선조는 누명을 쓰고 백의종군하던 충무공 이순신에게 다시금 삼도수군 통제사를 맡기며 "지휘할 수군이 없다면 권율을 돕도록 하라"고 한다. 하지만 충무공은 열두 척이 있음을 밝히며 "죽을 힘을 다해 맞서 싸우면 이길수 있사옵니다. 미천한 신(臣)이 아직 죽지 않았으니 적들이 감히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것이옵니다"라고 보고하고, 열두 척의 배를 이끌고 적선 333척을 격파하여 세계 해전사에 빛나는 기적을 이룬 명량대첩이다. 나는 이 문장을 읽으면 콧등이 시큰해진다. ※세 번째는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니, 꽃 좋고 열매 많나니 /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니, 내(川)가 되어 바다에 가나니' 라고 생각한다. 한글 최초의 시가집인 '용비어천가'를 통틀어 가장 아름답고 균형이 있으며 유명한 문장이다. 이 문장의 키워드는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인데, 각각 잡지의 제목으로도 쓰일 만큼 뜻이 깊고 정이 가는 말이다. 이 키워...

🌿 좋은 글 다섯가지

🍒 이 다섯글의 의미를 새겨 봅시다 🌿 좋은 글 다섯가지 ● 이야기 하나 한 소년이 있었습니다. 화창한 날에 기분 좋게 언덕을 올라가던 소년은 길에 튀어나와 있던 돌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이런 돌덩이가 왜 사람들 다니는 길에 있지? 소년은 삽으로 돌부리를 캐내기 시작했습니다. 파헤치자 점점 돌의 크기가 드러났습니다. 땅 위에 보이는 돌은 사실 큰 바위의 일부였던 것입니다. 소년은 놀랐지만 결심했습니다. "다시는 다른 사람들이 돌부리에 걸리지 않도록 파내겠어!" 소년은 분한 마음 반, 정의감 반으로 거대한 돌에 달려 들었습니다. 해가 뉘엿뉘엿 지기 시작했습니다. 소년은 삽을 놓았습니다. 안 되겠다, 포기하자. 소년은 파놓았던 흙으로 돌이 있던 자리를 덮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소년이 걸려 넘어졌던 돌부리도 흙에 덮여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소년은 중얼거렸습니다. "왜 처음부터 이 방법을 생각 못했지?" 그렇습니다. 나에게 상처를 주었던 사람이 있습니까? 나를 넘어지게 했던 내 인생의 돌부리는 누구에게나 있지요. 그것이 나로 인한 것이든 남으로 인한 것이든 파헤치지 말고 덮어 주세요. 그것이 더 쉽고 온전한 방법입니다. 덮어주는 삶도 아름답습니다 ● 이야기 둘 구두쇠 주인이 종에게 돈은 주지 않고 빈 술병을 주면서 말했습니다. "술을 사오너라." 그러자 종이 말했습니다. "주인님! 돈도 안 주시면서 어떻게 술을 사옵니까?" 주인이 말했습니다. "돈 주고 술을 사오는 것이야 누구는 못하니? 돈 없이 술을 사오는 것이 비범한 것이지." 종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빈 술병을 가지고 나갔습니다. 얼마 후 종은 빈 술병을 가지고 돌아와서 주인에게 내밀었습니다. "빈 술병으로 어떻게 술을 마시니?" 그때 종이 말했습니다. "술을 가지고 술 마시는 것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