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말 한 마디의 격려/

말 한 마디의 격려/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인 러시아태생 라흐마니노프의 대표곡은 ‘피아노협주곡 제2번’이다.그는 우연히 이 곡을 작곡한 것이 아니었다. 25세 때 이미 「천재적인 음악인」 소리를 들은 그는 너무 자만하다 큰 실패를 겪었고 정신병원 에까지 가게 됐다. 이때 담당의사인 니콜라스 델 박사는 재기를 권하며 ‘당신 안에 위대한 것이 잠들고 있다. 그것은 세상에 나갈 날을 기다린다’ 고 말했다.이 한 마디의 말에 용기를 얻은 라흐마니노프는 이듬해‘세계의 명곡’을 작곡하게 된 것이다. [오늘의 말씀] "시기와 다툼이 있는 곳에는 요란과 모든 악한 일이 있음이니라" (약 3:16). # 시기는 모든 계층의 사람들, 우리 모두가 경험하는 악한 죄입니다. 이 죄는 우리의 마음 속에서 기쁨을 앗아갑니다. 하나님만이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지금 나에게 주어진 모든 조건에 대해서 나는 하나님께 감사하고 또 감사할 따름입니다.
최근 글

시련(試鍊)

시련(試鍊) / 서양(西洋)에서는 결혼(結婚)할 때, 어머니가 시집가는 딸에게 진주(珍珠)를 주는 풍습(風習)이 있다! 그 때의 진주(珍珠)를 "얼어붙은 눈물 [Frozen Tears]" 이라고 부른다! 왜 이런 풍습(風習)이 생겼을까? 아마도 딸이 시집살이 하다가 속상해 할 때, 조개가 자기 안으로 들어 온 모래로 인해 받는 고통(苦痛)을 이겨내고 아름다운 진주(珍珠)를 만들어 낸 것처럼 잘 참고 견디어 내라는 뜻일 것이다. 진주(珍珠)는 땅에서 캐내는 보석(寶石)이 아니라, 바다 속의 조개 안에서 만들어 진다. 어쩌다 잘못 해서 모래가 조개의 몸 속으로 들어 가면, 깔깔한 모래알이 보드라운 조갯살 속에 박히게 되는데, 그 때 조개가 얼마나 고통 스러울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모래가 진주(珍珠)가 되는 것은 아니다. 깔깔한 모래알이 조개의 보드라운 살에 박히게 되면, 조개는 본능적(本能的)으로 두 가지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選擇)하게 된다. "하나는, 모래알을 무시해 버리는 것"인데, 그러면 결국 조개가 모래알 때문에 병(病) 들어 살이 썩기 시작하면서 얼마 가지 않아 그 모래알 때문에 조개가 죽어 버린다!. 또 다른 하나는, "모래알의 도전(挑戰)을 받아들이는 것"인데, 조개는 진주층[nacre] 라는 생명(生命)의 즙을 짜내어 자기 몸속에 들어온 모래알을 계속해서 덮어 싸고, 또, 덮어 싼다. 그렇게 하루, 이틀, 한 달, 두 달, 일 년, 이년 동안을 계속해서 생명(生命)의 즙으로 모래알을 감싸고, 또, 감싼다! 이렇게 해서 이루어진 것이 바로 진주(珍珠)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우리의 삶 속에서 이런 저런 모래알이 들어 올 때가 많다! 이것을 우리는 "시련"이라고 한다. 우리에게 시련이 올 때, "내가 지금 값진 진주(珍珠)를 품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내가 당하는 시련(試鍊)이 크면 클수록 내가 품...

생명의 향기 • 분노로 마음의 문이 사탄에게 열림

🌻 생명의 향기 • 분노로 마음의 문이 사탄에게 열림 🌻 여하간 도전에 대해서도 분노나 적개심을 품어도 무방하다고 생각하는 자들은 사탄에게 마음의 문을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하늘과 조화되기를 원한다면 원한과 증오심이 심령에서 추방되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사물을 가장 어두운 측면에서 바라본다. 그들은 불만거리로 생각되는 것을 확대하며, 원한을 키우고 복수에 불타는 증오심을 가득 품게 된다. 그러나 실상은 그들이 이런 감정을 품을 진정한 이유가 조금도 없었다… 이런 그릇된 감정들을 물리치라. 그러면 그대는 동료들과 교제하는 데 큰 변화를 경험할 것이다. - 그리스도인의 마음과 품성과 인격, 516-517. 🌻 Aroma of Life • Anger Opens the Heart to Satan 🌻 Those who at any supposed provocation feel at liberty to indulge anger or resentment are opening the heart to Satan. Bitterness and animosity must be banished from the soul if we would be in harmony with heaven…. Many look at things on their darkest side; they magnify their supposed grievances, nurse their wrath, and are filled with revengeful, hateful feelings, when in truth they had no real cause for these feelings…. Resist these wrong feelings, and you will experience a great change in your association with your fellowmen. — Mind, Character, and Personality 2, 516-517. ...

‘10미터만 더 뛰어봐'

‘10미터만 더 뛰어봐' / 성공은 실천 속에 있는 것이지 머릿속 생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왜 실천을 못하는가? 그것은 성공에 대한 자 기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성공하지 못한 많은 사람을 만나 보고 내린 결론이 있다. 그들은 아이디어는 풍부하지만 실천력이 없다는 것이다. 나는 말해 주고 싶다. 행운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의 발뒤꿈치에서 솟아 오르는 것이라고. - 10미터만 더 뛰어봐‘중에서 - 저도 많은 생각들을 하게 됩니다. 그 생각들이 실천력을 동반하지 못했기에 후회의 연속이었음을 깨달았기에 저한테 주는 채찍의 말씀이란 생각이 듭니다.. 작은 생각이어도 좋습니다. 하나씩 미소지으며 이루어 내는 실천력 있는 사람이 되기로 다짐해 보네요. 좋은 아침입니다 🎵 ( 다니엘 1 : 21 ) 그는 때와 계절을 바꾸시며 왕들을 폐하시고 왕들을 세우시며 지혜자에게 지혜를 주시고 총명한 자에게 지식을 주시는도다 깊고 은밀한 일을 행하시는 주님께서 우리에게 빛과 함께 있게 하실것을 믿고 기도하며 ~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미국(美國) 어느 지방(地方) 신문(新聞)에,

미국(美國) 어느 지방(地方) 신문(新聞)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기사(記事)로 났습니다. 어느 회사(會社)의 전무(專務)인 40대 남자(男子)가 혈압(血壓)으로 쓰러져, 그만 반신불수(반신(半身)不隋)가 되었습니다. 병원(病院)에 입원(入院)하여 매일(每日) 실망(失望)과 좌절(挫折)에 빠져, 자신의 신세타령을 하면서, 짜증과 불평(不平) 불만(不滿)으로 옆에서 수발을 드는, 부인조차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친한 친구의 문병(問病)을 받고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친구의 권면은 신세타령과 불평과 불만만 하지 말고, 일생(一生)을 살아오면서 도움을 준사람을 생각하면서, *감사(感謝)의 조건(條件)을 찾아보라고 권면(勸勉)했습니다. 처음에는 감사할 조건이 조금도 생각이 나지 않았습니다. 자기에게 도움을 준 사람도 별로 생각이 나지 않았고, 그저 짜증만 났고, 부인(婦人)도 자식(子息)도 친구들도 고맙지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노력(努力)해서 지난 날을 회상(回想)하는 가슴 속에, 뭉클한 한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그것은 초등학교(初等學校) 때 *여선생(女先生)님의 생각이었습니다. 그는 초등학교 때 그렇게 공부(工夫)를 잘 하지 못했는데도, 늘 담임 여선생이 칭찬(稱讚)을 잘 해주어서, 용기(勇氣)를 얻어 공부(工夫)를 열심(熱心)히 하게 되었고, 중. 고등학교와 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하고, 취직하여 회사의 중역까지 되었다는 생각을 하니, 가슴이 뜨거워지기 시작했고, 어릴 적 그 여선생님이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었습니다. 그는 여기 저기 수소문해서, 그 여선생님이 계신다는 양로원의 주소를 찾아, 간단한 편지를 썼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저는 윌리인데, 지금 반신불수가 되어 있습니다. 선생님은 저의 생애에 있어서 둘도 없는 은사입니다. 그동안 한번도 감사의 글을 드리지 못하고, 무심했던 것을 용서해 주십시오.....중략" 이 선생님도 남편이 세상을 떠나고 ...

🍀 영화 벤허의 세 가지 교훈

🍀 영화 벤허의 세 가지 교훈 (바울선교회 박승규 목사) █AD 26년 예루살렘은 로마제국의 통치하에 있었는데, 당시 예루살렘에 유다 벤허(Judah Ben-Hur)가 살고 있었습니다. 벤허는 당대 제일가는 유대 귀족이었습니다. 어느 날 로마의 지배하에 있던 이스라엘에 새로운 총독과 그를 보좌하는 사령관이 부임했습니다. 그런데 그 사령관은 다름 아닌 벤허의 옛 친구 메살라였습니다. 어린 시절 둘도 없는 친구였지만, 로마제국의 사령관인 메살라는 통치자로, 벤허는 억압받는 식민지로 살다 보니 첨예하게 대립했습니다. █그러던 중 신임 총독의 취임 행렬이 있었는데, 베란다에서 오빠 벤허와 함께 이를 구경하던 여동생이 아래를 내려다 보는 순간 오래된 기왓장이 떨어졌습니다. 이 사고로 말이 놀라 뛰면서 신임 총독이 낙마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실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닙니다. 오래된 기왓장이 스스로 떨어져 나간 것입니다. 그런데 출세욕에 눈이 먼 메살라는 현장을 검증하고, 이들이 아무 죄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 기회에 유대인들에게 본때를 보여 주려고, 절친인 벤허의 계획 범행으로 몰고 갔습니다. 그리곤 아주 가혹하게 처벌했습니다. █메살라는 벤허의 어머니와 누이동생은 지하 감옥에 가두어 버렸고, 벤허는 노예로 팔아 갤리선에 노를 젓는 형벌을 내렸습니다. 갤리선은 로마시대에 노예나 죄인들을 쇠사슬로 묶어서, 노를 저어 전투를 하는 일종의 전투선입니다. 그렇게 벤허는 두 손이 묶여 갤리선으로 끌려 가던 중에 나사렛을 통과하게 되었습니다. 우물가에서 물을 먹는데, 로마 군인들은 유독 벤허에게는 물을 먹지 못하도록 금지했습니다. 쓰러져 목말라 죽을 지경에 이른 벤허에게 한 유대인이 와서 물을 먹여 주었는데, 결국 벤허는 그 물을 먹고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걷고 또 걸어서 모진 고생 끝에 벤허는 갤리선을 탔고, 배의 가장 밑바닥에서 쇠고랑을 차고 노를 젓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를 담당하는 담당관은...

드림,

드림/ 사람들은 보통 ‘얻는 것, 받는 것, 누리는 것’은 좋아하고, ‘잃는 것, 주는 것, 희생하는 것’은 꺼려합니다. 바로 그런 성향 때문에 진정한 기쁨과 평화를 얻지 못합니다. 가정이나 나라나 세계에 평화가 없는 이유는 손해를 보려고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평화는 드리려는 삶에 주어집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드림(surrender)이란 단순히 ‘준다(give)’는 것보다 한 차원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에서 ‘give’는 ‘주는 것’을 통칭할 때 쓰는 말이지만 ‘surrender’는 ‘자신의 마음(mind)뿐만 아니라 자신의 의지(will)까지 드리는 것’이라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소유를 주는 것’도 자신에게 기쁨을 주지만 ‘자신을 드리는 것’은 자신에게 기쁨뿐만 아니라 마음의 깊은 평화까지 줍니다. 아무리 모태신앙이고 오랫동안 신앙생활을 했어도 자기를 드리지 않으면 신앙의 깊은 의미와 축복을 모릅니다. 참된 평화를 얻으려면 반드시 ‘자기를 드리는 지점’까지 나가야 합니다. 그처럼 하나님께 자기를 드리지 않으면 사실상 그것은 하나님이 없이 사는 것이고, 그러면 언젠가는 반드시 실패와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우리 자신을 드릴 때, 우리의 삶에는 결코 손해나 불행이 없습니다. 그때 하나님께서 다른 축복도 주시지만 무엇보다도 하나님 자신을 주십니다. 조금 높은 사람에게도 자기를 드리면 그에 따른 보답이 있는데 살아 계신 하나님께와 부모님께 자기를 드리면 은혜와 사랑과 축복이 반드시 있지만 은혜와 사랑과 축복 이전에 마음에 기쁨과 평화가 넘치게 됩니다. 또한 자신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공동체에도 기쁨과 평화를 주게 됩니다. [오늘의 말씀] 전도서의 저자 전도자는 이 땅에서 모든 것을 누려본 사람입니다. 권세, 재물, 명성, 쾌락, 등 마음에 원하는 것을 다 가져보았습니다. 그리고 그가 한 말은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전1:2)였습니다. 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