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아침의 기도

아침의 기도/ 주님 이 아침 당신을 바라봅니다. 나의 어떠함에도 나를 질책하고 꾸짖지 아니하시고 나의 노래를 들으시는 당신은 나의 하나님입니다. 나의 죄악에도 불구하고 나의 소리를 들으시는 당신은 나의 하나님입니다. 내가 당신을 노래하기 위해 나의 행위가 온전해야 한다면 난 나의 입술을 열어 나의 하나님이라 고백하는 그 단 한마디도 고백할 수 없을 것입니다. 나의 행위로 결코 당신을 기쁘게 할 수 없는 그런 존재임에도 내가 당신을 부르고 노래할 수 있음이 내게 큰 기쁨입니다. 행복입니다. 내가 당신에 대하여 내가 알고 있고 느끼고 깨달을 바를 나의 입술로 찬양할 수 있음이 내게 행복입니다. 당신을 향하여 내가 노래할 때 나의 찬양을 들으시는 주님 당신은 나의 후원자이시고 나를 일으키시는 격려자입니다. 나를 인도하시는 등불입니다. 나를 사랑하시는 세심하신 분입니다. 나를 가슴으로 사랑하시는 분입니다. 당신은 기묘하시고 전능하시며, 성실하시고 존귀하신 분임을 고백합니다. 변하지 않으시고 늘 일정하시고 성실하고 위대하신 당신은 나의 창조주이십니다. 토기가 토기장이에게 항변할 수 없음에도 난 늘 당신을 향하여 어리석게도 불평하고 항변하는 모습을 보여 온 것이 바로 나의 태도였음을 고백합니다. 이제 그런 나의 태도를 버리게 하시고 당신의 그 시간이 나를 위한 가장 좋은 시간이었음을 고백하게 도우시길 원합니다. 나를 위한 가장 좋은 시간을 예비하시는 당신은 나의 하나님입니다. 당신을 다 알지 못하고 당신을 노래하는 나를 당신이 받아주시듯이, 나도 다른 사람을 향하여 그런 태도를 가지고 그를 받아들이고 용납할 수 있는 믿음을 갖기 원합니다. 당신이 인도하소서. 용납하지 못하고 끌어 않지 않음으로 우리는 많은 상처를 서로 주고 받는 모습을 봅니다. 그런 아픔들을 우리가 서로 껴 안을 수 있도록 나를 인도하소서. 아멘.
최근 글

풀리지 않던 의문 🉐️

㊙️ 풀리지 않던 의문 🉐️ 사찰의 고승들의 수명을 조사하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한국 불교의 큰스님이신 효봉 스님은 79세, 이청담 스님은 70세, 성철 스님은 82세, 법정 스님은 79세에 돌아가셨다. 이분들은 불교계의 고승들로 다 훌륭하신 분들이다. 그런데 90세를 넘기신 분이 없었다. 그러나 훌륭하셨던 개신교 목사님들 중에 영락교회 한경직 목사님 99세, 영등포교회 방지일 목사님 104세, 충현교회 김창인 목사님 96세, 경동교회 강원용 목사님 90세에 돌아가셨다. 모두 90세를 넘기셨다. 고승들의 평균 수명은 77.5세이고, 훌륭하셨든 목사님들의 평균수명은 97세다. 목사님들과 고승들과의 평균수명이 자그마치 20년이나 차이가 난다. 원인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사람이 건강해지려면 가장 많이 먹는 것을 가장 좋은 것으로 먹어야 한다. 그렇다면 사람이 가장 많이 먹는 것은 무엇일까? 공기다. 공기는 잠잘 때도 먹어야 한다. 두 번째로 많이 먹는 것은 물이다. 그래서 좋은 공기와 좋은 물을 먹으면 세포가 건강해진다. 그런데 스님들은 깊은 산속에서 신선한 공기와 맑은 물을 마실 뿐만 아니라 오염되지 않은 온갖 채소와 산나물과 약초를 먹으며 산다. 더군다나 108번뇌에서 벗어나기 위해 참선을 하며 무념을 유지한다. 곧 고요한 평안을 유지하며 108번뇌에서 벗어나 해탈한다. 그러나 목사님들은 공기도 좋지 않은 도시에 살면서 매일 새벽 설교와 주일설교와 수요설교를 준비하느라 힘든 시간을 보내며 또 교인들로부터는 온갖 근심거리를 들으며 산다. 그런데도 목사님들의 평균수명은 고승들보다 20년이나 더 길었다. 몇 년도 아니고 20년이면 엄청난 차이다. 이는 내가 풀 수 없는 의문 중의 의문이었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1993년 성철 스님이 내놓으셨다. 스님은 이런 유언을 남기고 떠나셨다. (1993년 11월 9일 조선, 동아, 중앙, 일간신문들) “내 인생을 잘못 ...

생명의 향기 • 그리스도는 생명의 샘

🌻 생명의 향기 • 그리스도는 생명의 샘 🌻 그리스도는 생명의 샘이시다.  많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그분에 대하여 더욱 분명한 지식을 소유하는 것이다. 그들은 하늘의 치유력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어떻게 온 몸을 맡길 것인지 끈기 있고 부드럽게, 그러면서도 진지하게 배울 필요가 있다.  하나님의 사랑의 햇빛이 어두운 영혼의 밀실을 비출 때, 불안한 염려와 불만은 사라지고, 흡족한 기쁨이 정신에 활력을 주고, 육체에 건강과 힘을 줄 것이다.  - 치료봉사, 247. 🌻 Aroma of Life • Christ is The Wellspring of Life 🌻 Christ is the wellspring of life.  That which many need is to have a clearer knowledge of Him; they need to be patiently and kindly, yet earnestly, taught how the whole being may be thrown open to the healing agencies of heaven.  When the sunlight of God’s love illuminates the darkened chambers of the soul, restless weariness and dissatisfaction will cease, and satisfying joys will give vigor to the mind and health and energy to the body.  - The Ministry of Healing, 247.

“나이 듦 속에 피어나는 믿음 – 70세 이후, 주님과 함께 걷는 길”

🌿 “나이 듦 속에 피어나는 믿음 – 70세 이후, 주님과 함께 걷는 길” / 어느새 제 나이 일흔을 넘겼습니다. 예전 같으면 ‘이제는 뒤를 돌아볼 시간’이라 여겼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지금의 저는 믿음 안에서 새로운 시작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젊을 때처럼 분주하지 않지만, 하루하루가 더 깊고 더 고요하게 하나님을 만나는 시간이 되어 갑니다. 삶의 속도가 느려질수록, 하나님이 내게 얼마나 가까이 계셨는지를 더 또렷하게 느낍니다. ⸻ 🍂 인생의 계절이 바뀌어도… 아이들을 다 키우고, 일선에서 물러나고, 이전보다 조용한 날들을 보내는 지금, 때로는 외로움과 허전함, 혹은 내가 더 이상 쓰임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마음을 짓누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말씀을 붙잡고 기도하는 중에 들려온 하나님의 음성은 이랬습니다: “나는 네가 흰 머리가 될 때까지 품을 것이며, 네가 늙을 때에도 안을 것이다.” – 이사야 46:4 그 말씀은 저를 다시 세워주었고, 하나님은 지금도 여전히 저를 사랑하시며 사용하시려는 분이라는 확신을 주셨습니다. ⸻ 🌸 희망의 여정, 함께 걷는 축복 지금 제게 가장 큰 소망은, 같은 세대를 살아가는 분들과 믿음 안에서 서로의 손을 잡고 걸어가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같은 상처, 같은 아픔, 같은 그리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 안에서는 그 모든 것이 은혜의 흔적이 되고, 우리를 연결시키는 사랑의 끈이 됩니다. 우리는 여전히 배우고, 여전히 사랑할 수 있으며, 하나님 나라를 위해 기도하고 섬길 수 있습니다. ⸻ 🙏 기도의 나눔 “주님, 제가 걸어온 길도, 앞으로 걸어갈 길도 모두 주님 손에 있음을 믿습니다. 나이 들수록 더 깊이 주님을 닮게 하시고, 저의 삶이 누군가에게 위로와 용기, 그리고 믿음의 등불이 되게 하소서. 지금 이 시기를 주님 안에서 가장 따뜻한 계절로 살아가게 하소서. 아멘.”

천 만원 주고도 못 구하는 글

천 만원 주고도 못 구하는 글 🍒"하루에 수십 번씩 누워서 엉덩이 들기 운동을 하면, 모든 허리 통증이 없어지고 머리가 맑아진다." 🍒이 운동을 하면 요통, 좌골신경통, 등 허리 통증이 없어지고 머리도 맑아질 뿐 아니라, 쓸개즙을 정상적으로 분비하여 대장과 간과 쓸개를 호전시켜 준다. 쓸개즙이 강력한 항생제가 되어서, 내장의 유해균을 죽이기 때문이다. 🍒이때 잠자고 있던 엉덩이 근육들이 다시 깨어나서, 뼈가 잘 움직이므로 머리에 모여 있던 소변 독을 빼주고, 펌프질을 원활하게 하므로 머리와 몸에 있는 요산을 빼주어 머리가 맑아진다. 🍒대장의 유해균은 대장벽을 구멍 내어 나쁜 균을 전신에 퍼지게 하고 머리까지 올라가게 되는데, 쓸개즙은 소화를 도와 줄뿐만 아니라 항생제 역할을 하므로 나쁜 균은 죽이고, 좋은 균은 회복시켜 준다. 🍒대장이 고장 나면 만병의 원인이 되고, 당뇨병과 갑상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당뇨병이 있고 갑상선이 있으면, 반드시 이 운동으로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 하는 방법 🍒식전에 쓸개즙이 많이 나와야 하므로 식전에 이 운동을 한다. 한 번에 수십 번을 하면 뒷다리가 땅기므로, 처음에는 식전에 20번부터 시작하여 점차 횟수를 늘려 나간다. 아침, 점심, 저녁 식전에 수십 번씩 하여 하루 300번 정도가 좋다. 🍒또한 이 운동은 엉덩이 근육을 키워서, 엉덩이 주위의 장기 (전립선, 콩팥, 자궁, 치질 등)를 회복시켜 준다. 🍒엉덩이 주위의 근육이 약하기 때문에 엉덩이 뼈를 움직여 주지 못해서, 그 주위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못한다. 🍒요실금, 전립선, 치질, 골반병, 좌골신경통 등은 엉덩이 근육이 약해서 생기는 병이므로, 엉덩이 근육을 키우면 자동적으로 치료된다. 🍒엉덩이 근육이 약하면 허리근육이 엉덩이 근육을 대신하기에, 허리가 아프고 척추도 휘어지게 된다. 🍒하룻밤에 소변을 4~5번 보았는데 이 운동을 하고, 밤에 깨지 않고 숙면을 할 수 있었...

"울어 줄 사람 있나요?"

look "울어 줄 사람 있나요?" "He who has a why to live can bear almost any how."......Friedrich Nietzsche (1844-1900) '살아야 할 이유가 있는 사람은 모든 것을 견딘다.' 내가 산부인과의사로 활약하던 시절로 이야기는 거슬러 올라간다. 내가 수술할 환자는 수술실에 입장하기 전 수술장 입구에서 가족들과 만나 내가 수술 중 최선을 다할 것을 확신시켜 가족들을 안심시킨 후 반드시 환자의 손을 잡고 수술장으로 들어갔으며 환자가 마취로 잠들기 전까지 그 손을 놓지 않는 버릇이 있었다. 수술을 앞둔 환자는 어떤 신분의 사람임을 막론하고 초라하고 작아질 수 밖에는 없다. 그러나 의사의 손에는 마법과 같은 신비스러움이 있어 이때 의사의 손은 그들에게 한없는 평화를 선사하며 심경이 평화로운 환자는 수술 후 회복도 빠른 편이다. 하루는 삼십대 후반의 여자환자를 수술실로 데리고 들어가려는데 가족 속에 숨어있던 소녀 하나가 갑자기 환자의 손을 잡으며 크게 우는 것이 아닌가? 어린 눈에는 어머니가 혹시라도 죽을 수도 있으리라는 우려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 광경을 보는 나의 눈에도 눈물이 핑하고 도는 것을 느꼈으며 저 환자는 분명히 살아야 할 이유가 있으며 나도 '저 환자만큼은 꼭 살려내야겠구나!' 라는 결심을 하며 수술장에 입장한 경험이 있다. 인간은 먹지 않고 40일 그리고 마시지 않고 4일 공기가 없이는 4분을 견디지만 희망이 없으면 단 4초도 견디지 못하는 법이다. 수술 같은 극적인 경험이 아니더라도 인간에게는 무언가 바라볼 것이 있어야만 한다. 아무 것도 바라볼 것이 없는 사람을 햇빛이 들지않는 곳에 서있는 나무에 비교한 사람도 있는데 그런 삶을 음지에 서있는 식물에 비유하였다. 인간에게 치매가 발병하면 한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있는데 치매 발병 전 온화했던 성품의 소유자는 계속 온화함을 유지하며 평소에 거칠었던...

🌷사랑이 있는 곳에 하느님이 계시다 🌷

🌷사랑이 있는 곳에 하느님이 계시다 🌷 -----♡-----♡^♡-----♡----- 미국 흑인 노예 해방을 위해 북군을 이끌고 싸운 링컨 대통령 (Abraham Lincoln 1809-1865 미국16대 대통령, 재임 1861-65) 못지않게 노예 해방에 크나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 “엉클 톰스 캐빈” (1852년 단행본 출판) 을 쓴 스토우 부인 (Harriet Elizabeth Beecher Stowe 1811-1896 미국 여류 소설가)입니다. 두 위대한 전사의 첫 만남 때의 이야기입니다. "아, 당신이 스토우 부인이십니까?" 링컨은 깜짝 놀라 물으면서 눈앞에 나타난 자그맣고 연약해 보이는 한 부인을 내려다보았습니다. 스토우 부인이라고 하면 저 유명한 소설 “엉클 톰스 캐빈”을 쓴 사람입니다. 스토우 부인은 이 작품 가운데서 노예들이 얼마나 학대를 받으며 차마 볼 수 없는 생활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를 눈에 보이듯이 잘 그려서 전 미국 사람의 도의심에 호소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남북전쟁의 동기 중에 하나가 되게 한 것입니다. "이것 참 뜻밖입니다. 나는 스토우 부인이라 하면 그렇게 열렬한 글로 한 마디 한 마디마다 사람의 참된 마음과 바른 도의심을 북돋아 주었기에 참으로 힘차고 씩씩한 분인 줄 알았더니 실상을 보니 불면 날아갈 듯한 연약한 부인이시구려." 링컨의 이 말에 스토우 부인은 웃음을 띠우며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아닙니다. 대통령 각하, 그 소설을 쓴 것은 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노예제도의 옳지 못함을 성내신 하느님께서 쓰신 것입니다. 저는 다만 하느님의 기계가 되었을 뿐입니다. 각하를 뵈오니 저도 놀랬습니다. 5년 동안이나 저 무서운 전쟁에서 싸우는 대로 지기만 하는 북군을 이끌고 끝끝내 굽히지 않고 마지막 순간에 드디어 세력을 되찾아 크게 이겨, 불쌍한 노예를 해방한 각하는 ...